국내 부동산시장이 침체하는 가운데 해외 건설시장마저 경쟁 국가들의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건설 수주가 급감하고 있다. 사진은 중동 플랜트 공사현장.  /한경DB
국내 부동산시장이 침체하는 가운데 해외 건설시장마저 경쟁 국가들의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건설 수주가 급감하고 있다. 사진은 중동 플랜트 공사현장. /한경DB
경기종합지수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현재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향후 경기전망을 보여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지난 1월 역대 최장 기간 동반 하락세를 기록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8개 구성지표 중 7개 지표에 ‘빨간불’을 나타내며 더욱 어두운 앞날을 예고했다. 고용상황이 나빠지고 있는 데다 기업에 재고가 쌓이고, 건설수주는 고꾸라지고 있는 결과다. 전문가들은 경기가 회복 기미 없이 저점 상태에 장시간 머무는 ‘L자형 침체’에 빠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생산·소비·투자 반짝 상승했지만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9년 1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생산·소비·투자는 모두 반짝 증가했다. 전(全) 산업생산은 작년 11~12월 두 달 연속 감소하다 올 1월 0.8% 반등했다. 연초 신차 출시에 따른 완성차 수출 증가 등의 영향이 컸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소매판매도 작년 12월 감소했으나 한 달 만에 증가로 들아섰다. 설비투자 역시 전월보다 2.2% 상승했다. 이 같은 실물 지표 반등은 작년 말 수치가 안 좋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에다 일시적 요인이 더해진 것이어서 개선세가 유지될지는 불투명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경기 판단 지표는 좋지 않았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한 99.1을 기록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작년 4월부터 10개월 연속 뒷걸음질치고 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5로 전월 대비 0.4포인트 떨어지며 작년 8월(-0.4포인트)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나타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작년 6월부터 8개월 연속 하락세다.

두 지표가 8개월 연속 동반 하락한 것은 ‘1차 오일쇼크’ 당시 1971년 7월부터 1972년 2월까지 연속 하락한 이후 최장 기록이다. 외환위기 때에도 6개월(1997년 9월~1998년 2월), 금융위기 때는 5개월(2008년 4~8월) 연속 동반 하락한 게 전부였다.
경기 선행지표 8개 중 7개 '빨간불'…'L자형 침체' 가능성 커지나
선행지표, 8개 중 7개 악화

지표 악화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보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를 이루는 구성지표 7개 중 2개가 전월 대비 악화한 데 비해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구성지표 8개 중 7개가 나빠졌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에서 구직자 수 대비 구인 인원의 비율을 나타내는 구인구직비율은 지난해 12월 1.0%포인트 올랐다가 올 1월에는 4.1%포인트 떨어졌다. 2014년 7월(-4.1%포인트)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전반적으로 고용상황이 악화된 데다 지난 1월 노인 일자리 사업 규모가 늘며 구직자가 늘어난 영향인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재고순환지표도 지난해 12월에 이어 올 1월에도 1.1%포인트 하락했다. 재고순환지표는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출하증가율에서 재고증가율을 뺀 수치다. 이 지표가 하락하는 것은 출하 증가에 비해 재고 증가가 빨라진다는 의미다. 광공업 출하지수는 지난 1월 0.5% 감소한 반면 재고지수는 6.8% 증가했다. 건설수주액은 지난해 12월 3.8% 증가했으나 올 1월에는 2.6%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L자형 침체를 우려하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건설 수주 등 투자 관련 주요 선행지표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데다 제조업 수출 출하도 감소했다”며 “경기가 계속 바닥으로 내려갈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내놓은 ‘산업활동동향 평가’에서 “산업분야별 혁신대책, 수출활력대책 마련 등을 통해 경제활력 제고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임도원/성수영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