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장 주재 대책회의에서 업계 등 "지금이 적기, 놓치면 더 큰 피해"

5일 서병수 부산시장이 주재한 한진해운 관련 민관합동 비상대책회의에서 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한진해운을 살리는 것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사태를 가장 빨리 돈을 적게 들이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부산시 중구 중앙동 한진해운 부산사옥에서 열린 대책회의에서 김영무 선주협회 상근 부회장은 한진해운 98척 중 68척이 압류되거나 입항을 거부당한 상태이며 2~3일 내로 모든 선박의 운항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 원전 부품이 싱가포르에서 묶여 공사가 중단될 처지에 놓이는 등 수출화물 수송차질로 수백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진해운에 운송을 맡긴 20피트 컨테이너 85만개가 선박과 전 세계 항만에 쌓여 있다.

이 화물을 화주에게 전달하는데 몇 달이 걸리고 비용도 10억달러나 들 것으로 보인다"며 "화물의 가격이 120억 달러에 이르는데 화주들이 납기지연으로 인한 배상을 채권단이나 정부에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채권단이 밝힌 한진해운의 운영자금 1조 5천억원 가운데 용선료 조정과 한진그룹 자구안으로 1조원을 마련하고 부족한 돈은 5천억원"이라며 "5천억원을 조달해서 한진해운 살리는 게 사태를 해결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우호 해운해사연구본부장도 "국가가 역할을 해야 한다면 지금이 적기"라며 "한진해운이 청산되면 국민총생산에서 사라질 부가가치가 1조원에 이르는 만큼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한진해운을 재가동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인호 부산항만발전협의회 공동대표는 부산시와 항만공사가 중심이 되고 상공계가 참여해서 3천억원을 마련, 한진해운을 살리겠다는 의지를 밝히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정부의 방침이 회생 쪽으로 정해지고 조달할 자금이 배분되면 항만공사가 나설 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국해양대 류동근 교수는 "법정관리 속에서라도 회생 방법을 찾아야 한다.

조양상선이 파산한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며 "실업문제 등도 있지만 해운항만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는 인재를 육성해야 하는데 국적 선사가 사라지고 관련 산업이 위축되면 해양계열 학생들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문제도 있다"고 걱정했다.

류 교수는 한국해양대에서는 매년 330~340명의 해기사를 배출하며 한진과 현대 양대 국적 선사에 24% 정도가 취업해왔는데 최근에는 9%대로 낮아졌다고 전했다.

부산신항 한진해운터미널 관계자는 "한진해운이 사라지면 부산항에 오는 환적화물이 줄고 터미널 운영사 간 경쟁으로 지금도 세계최저 수준인 하역료가 더 떨어져 운영사들이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부산항의 환적화물 하역료는 중국 항만의 50~90% 수준이고 베트남 항만보다도 낮다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lyh9502@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