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시장이 신흥국의 금융시장보다 대외 금융 충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유복근 과장은 19일 '국가별 금리차의 요인분해' 보고서를 통해 "12개국을 대상으로 미국과의 금리 차이를 국가 요인과 환율 요인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국가요인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세계 자본시장은 환율 등을 통해 각국의 내외금리차가 줄어들면서 안정화되는 것이 정상인데, 한국은 기준금리 조정과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 등에 따라 금리차가 크게 벌어지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유 과장은 "내외금리차가 과도하게 벌어지면 시장이 이를 자율적으로 조절해야 건전해지는데 한국은 국가적인 신용불안 등이 금리차를 크게 벌려놓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외환자본자유화를 추진했지만 외환과 금융시장의 효율성과 시장간 연계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007년 8월 이후 국제 금융위기에 따라 개별 국가의 위험도(리스크)가 크게 확대해 왔다"며 "한국의 경우, 다른 신흥시장국보다도 국가적 신용불안 요인이 시장에 크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2007년 8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한국의 내외금리차는 2.61%p다. 이 가운데 국가요인이 키운 금리차는 3.00%p에 달하고 환율 등에 의한 요인은 마이너스(-)0.39%p에 불과했다. 유로존의 국가요인은 0.48%p, 환율요인이 0.89%p 등인데 비해 국가요인의 비중이 대단히 크다는 것이다.

유 과장은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그 비중이 싱가포르, 대만, 멕시코 등 6개 신흥시장 국가에 비해서도 컸다"며 "이는 금융시장이 대외 금융충격에 그만큼 취약하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그는 "국내 외환 금융시장을 선진화하고 대외충격을 감내할 수 있는 경제시스템을 구축하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