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윤철 재정경제부 장관이 17일 "빅딜(대규모 사업교환)은 좋은 시책이 아니었으며 정부가 주도한 것도 아니다"고 주장, 정부와 재계간 빅딜책임에 대한 공방이 본격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전 장관은 이날 "당시나 지금이나 빅딜이 좋은 시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빅딜은 정부가 주도한 것이 아니고 업계에서 치열한 경쟁을 할 수가 없는 입장 때문에 나온 아이디어였다"고 기업측에 책임을 돌렸다. 사실 재계에서는 빅딜로 태어난 대표적 기업인 하이닉스반도체가 경영난으로 정상화방안이 추진되고 있고 현대에 인수된 인천정유도 생존에 어려움을 겪는 등 현재까지 빅딜의 공과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LG는 빅딜로 반도체 사업을 빼앗겼다며 아직도 서운한 감정을 풀지 않고있으며 대부분의 빅딜 당사자들도 기업의 투자문제는 기업자율에 맡겨야 했다며 불만스러워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 장관이 빅딜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내고 이 정책이 정부주도가 아닌 업계의 아이디어로 진행됐다고 주장함에 따라 빅딜 책임문제를 놓고기업과 정부간 공방이 벌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빅딜 대상 기업 관계자들은 대부분 정부가 이 일을 추진했고 기업들은 어쩔 수없이 끌려간 측면이 큰 데도 전 장관이 기업에 빅딜책임을 떠넘기는데 대해 다소 황당해 하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LG측은 "당시 LG전자는 현대와 LG의 반도체를 합치는 순간 함께 망한다며 강력히 반대했으며 기업 투자는 기업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원칙이라고 밝혔다"고 전해빅딜이 기업자율이 아니라 정부의 의지가 개입됐음을 시사했다. 당시 빅딜의 창구역을 맡았던 전국경제인연합회의 한 관계자도 "빅딜 참여 업체들이 스스로 하고 싶어서 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면서 "빅딜 대상 업종 등에 대해서는 큰 그림이 그려져 있었던 것 같았고 전경련은 다만 기업들이 만나서 합치된 의견을 도출할 수 있도록 복덕방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즉, 재계에서는 정부가 빅딜 대상업종과 관련 기업에 대해 대체적인 윤곽을 그린 뒤 형식적으로는 전경련을 창구로 기업간 자율적인 협상을 통해 이를 성사시키는모양새를 갖추도록 했다고 보고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빅딜의 과정이나 책임 소재를 가릴 경우 정부와 재계의 공방이 치열할것으로 전망돼 전 장관의 발언의도와 재계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손병두 전경련 부회장이 최근 빅딜관련 자료를 정리하라고 전경련 실무자에게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재계차원에서의 대응이 이미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신삼호기자 ssh@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