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금강산 댐과 그 대응댐인 평화의 댐은 5공-문민정부-국민의 정부 3대 정권,10수년에 걸쳐 끈질긴 악연을 맺고 있다. 평화의 댐은 5공정권에서 '안보댐'으로 건설된데 이어 YS정부에선 '전시용댐'으로 전락했으나 최근 다시 '방패막이댐'으로 몸값이 오르는 등 정권이 바뀔 때마다 우여곡절을 겪어 왔다. 평화의 댐은 지난 86년10월 당시 5공 정권이 "북한이 서울의 3분의 1을 삽시간에 물바다로 만들 수 있는 최대 저수능력 2백억t 규모의 금강산 댐을 건설한다"는 수공(水攻) 위협설을 발표하면서 건설됐다. 국민의 열화와 같은 호응속에 평화의 댐 성금 모금행사가 대대적으로 펼쳐졌고 코흘리개 유치원생부터 칠십 노인까지 앞다퉈 성금을 낸 결과 7백73억원의 성금이 걷혔다. 정부는 87년 국민성금을 포함,1천5백억원을 들여 금강산댐으로부터 20㎞ 떨어진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에 평화의 댐을 착공했다. 1년여 공사끝에 88년 5월27일 높이 80m,길이 4백m,저수능력 5억9천만t의 1단계공사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지난 93년 문민정부 탄생 후 진행된 특별감사에서 감사원은 당시 정권이 시국안정과 국면전환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 북한의 수공위협을 과장해 평화의 댐을 축조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감사원 감사와 청문회 등을 통해 5공 정부가 저수량 70억t 정도인 금강산 댐의 규모를 2백억t으로 과장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평화의 댐은 '미운 오리새끼'로 전락,2단계 공사를 착수도 못한 채 방치돼 왔다. 올초 금강산댐으로부터 3억5천만t의 흙탕물이 쏟아져 내려오고 위성사진을 통해 금강산댐 상부에 함몰 흔적이 발견되면서 금강산댐의 안전성 논란과 함께 평화의 댐은 존재가치를 다시 인정받고 있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