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광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태광산업은 보수적인 섬유·화학업계에서도 특히 변화에 둔감한 기업으로 꼽힌다. 스판덱스와 테레프탈산(PTA) 등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는데, 굳이 변신에 나섰다가 수익구조만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20년 가까이 계속된 행동주의펀드의 공격에도 태광이 ‘마이웨이’를 외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랬던 태광산업이 최근 달라지고 있다. 한 귀로 듣고 흘렸던 행동주의펀드의 요구를 받아들여 이들이 추천한 외부 감사와 사외이사들을 이사회에 넣기로 했다. 그룹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경영협의회의 수장 자리도 외부 출신에게 맡기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도 강화하기로 했다. 업계에선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요구해온 외부 인사들을 경영진에 넣었다는 점에서 상당 기간 ‘수비’로 일관해온 태광그룹의 경영 방향이 신사업 진출, 인수합병(M&A) 등 ‘공격’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행동주의펀드 요구 모두 수용

은둔의 태광산업, 외부에 '경영 빗장' 풀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태광산업은 트러스톤자산운용이 제안한 3명의 이사 후보 선임 안건(정안식 태광산업 영업본부장, 안효성 회계법인 세종 상무, 김우진 서울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을 29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모두 통과시키기로 했다. 사외이사인 안 상무와 김 교수는 태광산업 감사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게 된다.

이 중 가장 주목받는 인물은 지배구조 연구 분야 전문가인 김 교수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 국민연금기금 투자정책 전문위원 등으로 활동한 김 교수는 태광산업의 지배구조와 불투명한 의사결정 구조를 공개 비판해왔다. 안 상무는 23년간 회계사로 활동한 회계·재무 전문가다. 트러스톤자산운용 관계자는 “김 교수와 안 상무를 사외이사로 받아들였다는 건 의사결정 구조를 투명하게 바꾸겠다는 태광산업의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업계에선 태광산업의 변화를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폐쇄적인 경영을 유지해 온 기업이어서다. 태광산업은 1950년 설립돼 국내 최초로 아크릴섬유(1967년)와 스판덱스(1979년)를 생산한 1세대 섬유·화학 회사다. 스판덱스를 주력으로 하면서 PTA와 아크릴로니트릴(AN) 부문에 강점이 있다. 73년 동안 연결 기준으로 영업손실을 낸 해가 4년밖에 없을 정도로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갖추고 있다. 현금도 두둑하게 보유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 현금성 자산 보유액이 1조원이 넘는다.

○“신사업 투자 확대 나설 것”

‘변신’의 방점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찍혀 있다. 태광산업은 지난 10년 동안 투자를 자제했다. 2021년 LG화학과 AN 합작법인인 티엘케미칼을 설립한 것과 지난해 5월 타이어용 아라미드 증설을 위해 1450억원을 투입한 게 전부였다.

앞으론 아라미드 공장 증설을 시작으로 신사업 분야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아라미드는 중량이 강철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5배 이상 센 주목받는 신소재다. 이를 위해 최근 탄소섬유 관련 신제품 연구개발과 제품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축했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배당 확대 대신 미래 신사업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기로 트러스톤자산운용과 합의했다”며 “올해를 태광산업이 다시 태어나는 원년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정인이 좌지우지했던 의사결정 시스템을 이사회 중심으로 바꾼다. 이를 위해 투명·준법 경영을 강화하고 그룹 차원의 사업전략을 수립하는 ‘미래위원회’를 설립해 주요 의사결정을 맡기기로 했다. 위원장은 작년 6월 영입한 SBS 보도국장 출신의 성회용 태광산업 대표가 맡는다. 위원회 산하엔 ESG위원회도 설치했다. 업계에선 경영 투명성 확보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이호진 전 회장이 곧 경영 일선에 복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