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새마을금고 강도 사건, 대전 신협 강도와 범행 수법 유사
50m 앞 치안센터인데도 비상벨 못 눌러, 범죄예방책 강화 필요
비슷한 수법…제2금융권 노린 강도행각 매년 되풀이 주민불안↑
충남 아산 새마을금고 강도 사건과 지난해 발생한 대전 신협 강도 사건은 한적한 도심 외곽이나 주택 밀집 지역에 있는 소규모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한 계획범죄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비·보안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제2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강도 행각이 대전 충남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매년 되풀이되고 있어 범죄예방을 위한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 경찰에 따르면 50대 A씨는 전날 오후 영업 종료를 2분여 앞둔 아산 선장면의 한 새마을금고에 복면을 쓰고 혼자 들어와 직원 3명을 흉기로 위협한 뒤 현금 1억2천448만원을 빼앗아 달아났다.

A씨는 직원들을 금고 철창에 가둬 비상벨 신고를 못 하게 막았는데, 사전에 범행지를 답사하며 청원경찰 유무를 살피고, 도주로 역시 파악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새마을금고나 신협 같은 제2금융권 지점이 직원 수가 적고, 경비인력이 없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생활 도구로 사용되는 비교적 구하기 쉬운 흉기로 대범하게 범행에 나선 것, 도주 후 다른 이동 수단(렌터카)을 바꿔타며 수사망을 피하려고 했던 것 모두 지난해 대전을 떠들썩하게 했던 신협 강도 사건과 판박이다.

앞서 지난해 8월 대전 관저동의 한 신협에 침입해 현금 3천900만원을 빼앗아 달아났던 B(48) 씨도 범행지를 사전에 물색했다.

그는 직원 수가 적고 상대적으로 한산한 평일 점심시간 직전에 헬멧을 쓰고 혼자 들어가 소화기 분말을 뿌리고 흉기로 위협한 뒤 5분여만에 현금을 훔쳐 나왔다.

두 사건 모두 폐쇄회로(CC)TV를 분석한 경찰이 범행 전 용의자들의 이동 동선을 역추적하는 과정에서 꼬리를 잡히게 됐다.

비슷한 수법…제2금융권 노린 강도행각 매년 되풀이 주민불안↑
지난해 8월 경북 칠곡군의 새마을금고에 침입해 현금 2천30만원을 빼앗아 달아난 용의자가 4시간여만에 검거되는 등 경북, 울산, 경기 남양주 등 전국 각지에서 제2금융권을 노린 강도 범행은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이번 아산 새마을금고 범행 현장은 불과 50m 앞에 경찰 치안센터가 있었던 탓에 주민들은 더욱 불안하다는 반응이다.

인근에서 자영업을 하는 한 주민은 "거의 동네 주민들만 이용하는 작은 지점이고 낮엔 사람도 없다"며 "경찰도 바로 앞에 있는데 강도가 들이닥치니 불안하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 중앙회는 지점별로 무인경비시스템, 가스총, 비상벨 등 모의 범죄 예방 훈련을 실시하고 있지만 청원경찰 고용까지는 자율에 맡기고 있다.

의무가 아닌 탓에 지역 영세 지점의 경우 비용 등의 문제로 경비인력을 고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독립채산제 형태로 운영되다 보니 중앙회의 통제가 각 점포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편이다.

전문가들은 경비 인력배치를 강제할 수 없고, 순찰 빈도를 무조건 늘리기에는 경찰 인력 역시 한정적이라고 진단하며, 범죄예방·대응책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오윤성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촘촘한 CCTV와 경찰 수사력으로 결국 검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며 "아산 강도의 경우에도 직원들이 비상벨에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데, 비상벨을 점포 여러 군데에 설치해 위급 상황에 대비하면 비용도 크게 들지 않고 신고 신속성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