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물가 부담 한숨 덜었지만…밥상엔 금사과·금대파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3.3% 오르며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특히 사과와 대파 등 농산물값이 30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치솟으면서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여전했다.

연말 물가 부담은 한숨 덜었다지만, 4개월 연속 3%대 오름세를 이어가며 외식물가, 공공요금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물가 불안감은 사그러들지 않은 모습이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 올랐다.

이는 전달(3.8%)보다 0.5%포인트나 낮은 수치다.

올해 3월(4.2%)까지만 해도 4%대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6~7월 2%대로 떨어지다 8월(3.4%) 들어 3%대로 반등헤·9월(3.7%)·10월(3.8%)엔 상승폭이 확대됐다.

4개월째 3%대에 에 머문 셈이지만, 단기적으로는 10월을 고점으로 물가 상승세는 제동이 걸린 모습이다.

또 전월 대비로는 0.6% 떨어지면서 지난해 11월(-0.1%) 이후로 1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하락 폭이 다시 확대되고 농축수산물, 내구재, 섬유제품의 물가 상승 폭이 둔화하면서 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석유류가 1년 전보다 5.1% 하락하면서 전체 물가를 0.25%포인트 끌어내렸다.

다만 휘발유는 2.4% 오르고 경유와 등유는 13.1%, 10.4%씩 내리면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농산물은 13.6%나 올라 물가를 0.57%포인트나 끌어올렸다. 지난 2021년 5월(14.9%) 이후로 30개월만의 최고 상승폭이다.

세부적으로 사과(55.5%), 쌀(10.6%), 토마토(31.6%), 파(39.3%), 귤(16.7%), 오이(39.9%) 등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반면 축산물은 도축마리수 증가, 정부측 공급 확대 등으로 1.3% 내리며 국산쇠고기(-3.6%), 돼지고기(-2.4%) 등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김 심의관은 "통상적으로 채소는 생육기간이 짧기 때문에 기상 여건이 좋아지면 많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지만, 과실 같은 경우 1년 단위기 때문에 단기간 내 가격이 하락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업제품 물가는 1년 전보다 2.4% 상승했다. 아이스크림(15.6%), 우유(15.9%), 빵(4.9%) 등이 가격 강세를 보이면서 가공식품은 5.1% 상승했다.

전기료(14.0%), 도시가스(5.6%), 상수도료(4.6%) 등 전기·가스·수도는 요금 인상으로 9.6% 올랐다.

11월 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3.0%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 중 공공서비스 물가는 2.2% 올라는데, 유치원 납입금(-9.7%), 국제항공료(-2.5%)는 내려갔으나 시내버스료(11.2%), 택시료(20.7%) 상승폭이 컸다.

개인 서비스 물가는 전년보다 4.2%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3.3%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0%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0%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2.7% 올랐다.

이 가운데 신선과실지수는 24.6% 뛰어 전월(26.2%)에 이어 20%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사과는 55.5%, 귤은 16.7% 올랐다.

김 심의관은 "11월 소비자물가는 총지수 외에도 두 가지 근원물가 측면에서 10월에 비해 (상승 폭이) 하락했다"며 "물가가 기조적인 측면에서 큰 변동 없이 둔화 흐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도 물가 흐름에 대해 "변동성이 높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월 대비 0.2%p 하락하는 등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이라며 "근원물가 안정세 및 최근 국제유가 등을 고려했을 대 12월에도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기재부는 "겨울철 기상여건, 국제유가 변동성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면서 "물가안정 기조의 조기 안착을 위해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중심으로 가격·수급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주요 불안품목에 대한 물가안정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연말 물가 부담 한숨 덜었지만…밥상엔 금사과·금대파
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