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말 안보리 비공개회의, 북러협력 우려가 주요 배경…서방 소집요구
북러 협력 '레드라인' 넘을까…촉각 곤두세우는 국제사회
동북아 안보질서를 흔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난달 러시아 방문 이후 앞으로 북러 군사협력이 어떻게 전개될지를 두고 국제사회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4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홈페이지에 따르면 안보리는 지난달 29일 오전(뉴욕 현지시간) '비확산/북한'을 주제로 비공개회의(consultation)를 열었다.

지난달 안보리 의장국을 맡은 알바니아의 유엔 주재 대표부는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미국, 프랑스, 일본, 영국, 몰타, 알바니아의 요청으로 안보리가 북한 비확산 문제에 대해 회의할 예정"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외교가에 따르면 이번 회의 소집은 북러 협력 전개 상황에 대한 안보리 이사국들의 우려가 주요 배경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지난달 26∼27일 최고인민회의를 열고 핵무력 강화정책을 헌법화한 것은 회의 소집의 직접적 요인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안보리 회의 다음 날 담화를 내고 '미국과 그 추종국가들'이 "신성불가침의 헌정활동과 자위적 국방력 강화조치를 비난하는 추태를 부렸다"고 비난했지만, 정작 안보리 이사국들의 초점은 북러 협력에 더 가까웠다는 것이다.

회의가 비공개로 열린 것은 최근 안보리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주로 공개회의를 여는 방식으로 대응한 것과도 대비된다.

안보리 공개회의에서는 이사국들이 돌아가며 각국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개진하는 데 주력하기 때문에 협상이 이뤄지기 어렵다.

최근 북한이 미사일을 쏠 때마다 미국 등 서방과 중국·러시아는 공개회의에서 대놓고 대립각을 세웠다.

공개회의가 열린 건 진영 대립 구도로 협상을 통한 결과물이 도출되기 어려운 상황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는 평가도 나왔다.

오히려 비공개회의에서 이사국들이 좀 더 솔직하게 입장을 교환하며 긴밀한 논의를 할 수 있다.

이번 회의에서 오간 논의 내용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서방 진영 이사국들은 북러 협력이 더 진전돼 안보리 제재를 위협하지 않도록 대러 설득과 압박에 나섰을 가능성이 있다.

북러 군사협력은 우크라이나 전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서방 국가들에도 매우 민감한 문제다.

한국 정부 내에서는 북러 협력이 기술이전 등을 통한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제고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을 특히 주시하는 분위기다.

이는 한국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기 때문에 정부 당국자들은 '좌시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내고 있다.

아울러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이달 방북 등 고위급 교류를 통해 북러 간 협력 진전 흐름은 한동안 더 이어질 것이 유력하다.

라브로프 장관은 지난달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러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10월에 평양을 방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방북 시 카운터파트인 최선희 외무상과 회담할 전망이며 이를 통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평양 답방 논의까지 이뤄질 수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북러가 '레드라인'을 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도 더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외교부는 지난달 28일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의 전화 협의 결과를 전하며 "러북 고위급 교류 및 무기 거래 동향 등을 예의주시하면서 관련 대응에 있어 계속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