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장관 5년만에 방중…블링컨-친강, 오늘 중대 담판(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중 충돌방지 '가드레일' 구축·대만해협 위기 등 논의할듯
AP "블링컨, 내일 시진핑 주석 예방 가능성"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18일(현지시간) 미국 국무장관으로는 5년 만에 중국을 방문했다.
로이터 통신은 블링컨 장관을 태운 미국 공군기가 이날 오전 베이징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미·중 간의 '정찰풍선(중국은 과학연구용 비행선이라고 주장)' 갈등으로 연기됐다가 4개월 만에 이뤄진 이번 방중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2021년 1월) 이후 미국 외교 수장의 첫 방중인 동시에 미국 최고위급 인사의 중국 방문이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때인 2018년 마이크 폼페이오의 방문 이후 미국 현직 국무장관으로는 5년 만에 중국을 찾은 것이다.
이틀 일정으로 방문한 블링컨 장관은 18일 친강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양국 외교장관 회담을 할 예정이며, 19일 중국 외교라인의 1인자인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중앙 외사판공실 주임)과 회동한다고 AP통신이 미국 정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중 간 전략경쟁이 점점 확대되고 심화하는 상황에서 모처럼 이뤄지는 이날 외교장관 회담에서 양측은 두 나라의 갈등이 무력 충돌로 비화하지 않도록 하는 이른바 '가드레일(안전장치)'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블링컨은 중국으로 출발하기에 앞서 16일(현지시간) "치열한 경쟁이 대립이나 충돌로 비화하지 않으려면 지속적인 외교가 필요하다"고 방중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개방적이고 권한이 부여된 소통 채널을 구축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오해를 해소하고 오판을 피하면서 도전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등 양국이 책임 있게 관계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과 친강 부장은 가장 폭발력이 큰 현안인 대만 문제와 관련, 상호 '레드라인'과 '마지노선'을 확인하는 시도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중국을 반도체 등 핵심 산업 공급망에서 배제하는 개념인 디커플링(분리)을 대체할 새 용어로 제시한 디리스킹(de-risking·위험제거·경제와 무역 등에서의 대중국 의존도 완화를 의미)을 놓고도 양측은 팽팽한 논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측은 대만 문제와 관련, '힘에 의한 현상변경 반대'를 강조하고,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중국이 러시아에 군사적 지원을 하면 큰 후과에 직면할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재차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국 측은 미국이 디커플링 시도를 포함해 중국에 대한 이른바 '억제와 탄압'을 중단해야 글로벌 현안에서도 미중 간 협력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
또 대만에 대한 미국의 지속적인 무기 공급에 강력 항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반도 문제와 관련, 미국 측은 북한 핵·미사일 고도화에 브레이크를 걸기 위한 중국의 노력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되나, 북한과 전략 공조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이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블링컨 장관은 또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AP가 보도했다.
2018년 6월 폼페이오 당시 미 국무장관이 중국을 찾았을 때는 시 주석이 폼페이오 장관과 만난 바 있다.
블링컨 장관이 시 주석을 예방할 경우 11월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초청과 그것을 계기로 한 제2차 바이든·시진핑 회담에 대한 양국 간 기본적 의사 교환이 이뤄질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블링컨 방중으로 미중 관계의 중대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보는 이들은 적다.
그럼에도 난타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미중 경쟁에 최소한의 '규칙'을 만들고, 오판에 의한 무력 충돌 가능성을 예방하는 측면에서 이번 회담은 의미가 작지 않다고 외교가는 보고 있다.
블링컨 방중 이후 미중 관계의 향배는 현재 심각한 갈등 국면을 보내고 있는 한중관계에도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의 설화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심상치 않지만, 이번 미중 고위급 협의를 거쳐 대만해협 등에서의 미중 충돌 우려가 감소할 경우 중장기적으로는 한중 외교 공간도 그만큼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일각에서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방문길에 한국과 일본 외무장관과 통화한 블링컨 장관은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건강한 한중관계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고 한미 외교당국이 밝혔다.
/연합뉴스
AP "블링컨, 내일 시진핑 주석 예방 가능성"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18일(현지시간) 미국 국무장관으로는 5년 만에 중국을 방문했다.
로이터 통신은 블링컨 장관을 태운 미국 공군기가 이날 오전 베이징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미·중 간의 '정찰풍선(중국은 과학연구용 비행선이라고 주장)' 갈등으로 연기됐다가 4개월 만에 이뤄진 이번 방중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2021년 1월) 이후 미국 외교 수장의 첫 방중인 동시에 미국 최고위급 인사의 중국 방문이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때인 2018년 마이크 폼페이오의 방문 이후 미국 현직 국무장관으로는 5년 만에 중국을 찾은 것이다.
이틀 일정으로 방문한 블링컨 장관은 18일 친강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양국 외교장관 회담을 할 예정이며, 19일 중국 외교라인의 1인자인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중앙 외사판공실 주임)과 회동한다고 AP통신이 미국 정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중 간 전략경쟁이 점점 확대되고 심화하는 상황에서 모처럼 이뤄지는 이날 외교장관 회담에서 양측은 두 나라의 갈등이 무력 충돌로 비화하지 않도록 하는 이른바 '가드레일(안전장치)'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블링컨은 중국으로 출발하기에 앞서 16일(현지시간) "치열한 경쟁이 대립이나 충돌로 비화하지 않으려면 지속적인 외교가 필요하다"고 방중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개방적이고 권한이 부여된 소통 채널을 구축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오해를 해소하고 오판을 피하면서 도전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등 양국이 책임 있게 관계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과 친강 부장은 가장 폭발력이 큰 현안인 대만 문제와 관련, 상호 '레드라인'과 '마지노선'을 확인하는 시도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중국을 반도체 등 핵심 산업 공급망에서 배제하는 개념인 디커플링(분리)을 대체할 새 용어로 제시한 디리스킹(de-risking·위험제거·경제와 무역 등에서의 대중국 의존도 완화를 의미)을 놓고도 양측은 팽팽한 논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측은 대만 문제와 관련, '힘에 의한 현상변경 반대'를 강조하고,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중국이 러시아에 군사적 지원을 하면 큰 후과에 직면할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재차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국 측은 미국이 디커플링 시도를 포함해 중국에 대한 이른바 '억제와 탄압'을 중단해야 글로벌 현안에서도 미중 간 협력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
또 대만에 대한 미국의 지속적인 무기 공급에 강력 항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반도 문제와 관련, 미국 측은 북한 핵·미사일 고도화에 브레이크를 걸기 위한 중국의 노력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되나, 북한과 전략 공조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이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블링컨 장관은 또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가능성이 있다고 AP가 보도했다.
2018년 6월 폼페이오 당시 미 국무장관이 중국을 찾았을 때는 시 주석이 폼페이오 장관과 만난 바 있다.
블링컨 장관이 시 주석을 예방할 경우 11월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초청과 그것을 계기로 한 제2차 바이든·시진핑 회담에 대한 양국 간 기본적 의사 교환이 이뤄질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블링컨 방중으로 미중 관계의 중대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보는 이들은 적다.
그럼에도 난타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미중 경쟁에 최소한의 '규칙'을 만들고, 오판에 의한 무력 충돌 가능성을 예방하는 측면에서 이번 회담은 의미가 작지 않다고 외교가는 보고 있다.
블링컨 방중 이후 미중 관계의 향배는 현재 심각한 갈등 국면을 보내고 있는 한중관계에도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의 설화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심상치 않지만, 이번 미중 고위급 협의를 거쳐 대만해협 등에서의 미중 충돌 우려가 감소할 경우 중장기적으로는 한중 외교 공간도 그만큼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일각에서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 방문길에 한국과 일본 외무장관과 통화한 블링컨 장관은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건강한 한중관계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고 한미 외교당국이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