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전 청와대를 방문한 매튜 포틴저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등 미국 정부대표단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전 청와대를 방문한 매튜 포틴저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등 미국 정부대표단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내달 미국 워싱턴에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16일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한·미 당국자가 6월말 워싱턴에서 정삼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역대 정부는 대통령 취임 이후 첫 정상회담을 미국과 가져왔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취임 3개월 만인 2003년 5월 미국을 찾아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처음 만났고 임기 동안 총 8차례에 걸쳐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 역시 취임 후 첫 외교 일정으로 미국 방문했다. 임기가 시작된 지 2개월여 만인 2008년 4월 캠프데이비드에서 부시 전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주한미군 감축 문제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3년 5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만나 '한·미 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양국 대북정책 공조를 재확인하고 협력 분야를 지구촌 문제로까지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방미 일정에서 윤창중 전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이 불거지는 오점이 남기도 했다.

취임 1개월 만에 미국을 찾는 문 대통령의 외교 일정은 역대 정부 가운데 가장 이른 시점이다. 북핵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 등 한반도를 둘러싼 문제들이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교가에선 출발은 나쁘지 않지만 '가시밭길'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드 배치 비용 부담 문제와 대북정책, FTA, 주한미군 주둔비 등의 문제에서 트럼프 행정부와 접근 방식에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앞서 10일 취임 선서식에서 "사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 중국과 진지하게 협상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사드 철수를 염두에 둔 발언인지 배치를 인정하는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스콧 스나이더 미국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은 "문 대통령이 사드 배치 결정을 뒤집는다면 미국을, 배치를 인정한다면 중국을 자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북정책과 관련한 마찰도 예상된다. 미국 언론들은 문재인정부와 트럼프 행정부가 어느 정도의 마찰과 균열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문 대통령 당선으로 인해 "한국이 미국의 대북공조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뉴욕타임스(NYT)도 문 대통령이 펼칠 대북정책에 대해 "전임 정부들과는 근본적으로 달라질 것"이라면서 "트럼프 행정부로서는 핵심 동맹국이 대북 화해정책을 추구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워싱턴포스트는(WP)는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에 대한 압박과 제재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포용정책 재개를 원하기 때문에 한미 관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미 정상회담 이후엔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는 8월을 전후해 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회담이 열릴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핵·사드 문제가 중국과도 얽혀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신상진 광운대 국제학부 교수는 "7월에 있을 G20 회담 때 양국 정상이 자연스럽게 만난 뒤 7월 말이나 8월에 정상회담이 열릴 것 같다"면서 "양국 모두 관계 개선을 적극적으로 원하기 때문에 사드 관련 갈등은 실무진급 협상 선에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한·일 정상회담은 과거사 문제 때문에 후순위로 밀릴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다만 양국 모두 조속한 관계 개선을 원하기 때문에 연내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란 전망도 있다.

이종윤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는 "한·일 정상회담은 얼마나 빨리 진행되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성과를 얻느냐가 더욱 중요하다"면서 "한·일 양국 정상이 국민을 설득하고, 서로 웃는 얼굴로 만나도록 물밑 교섭을 많이 해야 비로소 정상회담의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