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16일 오후, 서울 명동 거리 모습. 한산하던 지난 3월과 달리 곳곳에서 중국인 관광객을 찾아볼 수 있다. >
<사진: 16일 오후, 서울 명동 거리 모습. 한산하던 지난 3월과 달리 곳곳에서 중국인 관광객을 찾아볼 수 있다. >
유통업계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사드 중풍이 훈풍으로 바뀌길 기대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한중 관계가 급속히 개선될 조짐을 보임에 따라 떠나간 중국인 관광객(유커)이 돌아올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나온다.

◆ 활기 되찾는 명동…대표단, 시진핑과 면담

16일 오후 2시,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서울 명동 거리. 사드 보복으로 인해 관광객이 자취를 감췄던 지난 2,3월과 비교하면 이날 명동의 모습은 한층 활기에 차 있었다.

거리 곳곳에서 삼삼오오 무리를 지어 다니는 중국인 관광객들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명동에서 중국어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한 두 달 전에 비하면 분위기가 확실히 나아졌다"며 "눈에 띄는 수준까지는 아니어도 개별 관광객을 중심으로 중국인이 다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본토 뿐 아니라 대만, 싱가포르 등 중국어를 쓰는 중화권 관광객이 전반적으로 많아졌다"며 "이에 힘입어 거리 자체가 이전보다는 활력이 넘치고 있다"고 말했다.

명동에 위치한 대형 화장품 매장 한 직원 역시 "아직 완전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건 아니다"면서도 "기대감이 생기면서 분위기가 나아졌다"고 밝혔다.

유통업계에서는 사드 문제로 얼어붙었던 한중관계가 새 정부 출범으로 정상화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 중국을 방문한 우리 정부 대표단이 지난 14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깜짝 면담하는 등한중관계 회복에 시동이 걸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 주석은 대표단을 이끌고 중국 일대일로 포럼에 참석한 박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의 정치 철학과 이념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과 대표단은 시 주석에 이어 중국 외교의 최고 실무책임자인 양제츠 국무위원과 만났다. 또 탕자쉬안 전 외교담당 국무위원과도 오찬을 함께 하는 등 중국 외교의 전현직 사령탑과 잇따라 면담했다.

사드 부지 제공으로 중국에서 공격 당해 폐쇄됐던 롯데마트 중국 홈페이지가 두 달여 만에 다시 문을 연 것도 유통업계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그동안 중국 롯데마트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죄송합니다, 홈페이지 수리 중입니다"라는 문구만 떴다가 현재는 화면이 정상 복구됐다.

이를 두고 중국 롯데마트가 홈페이지를 다시 열며 영업 준비 작업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정하늘 이베스트증권 연구원은 "문 대통령 취임 이후 한중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다"며 "최근 바이두와 QQ뮤직의 한국 카테고리 노출 등은 중국 내 한국 콘텐츠에 대한 규제도 완만해지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고 말했다.

◆ 중국 롯데마트 영업정지 여전…변화 '글쎄'

유통업계 일각에서는 그러나 섣부른 기대는 금물이라는 지적도 있다.

과거 센카쿠 열도를 둘러싸고 중국과 일본의 갈등이 2년 넘게 이어졌다는 걸 감안하면 사드 배치에 따른 여파도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2012년 센카쿠 갈등 여파로 일본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절반 가까이 줄었고 양국 간 교역도 감소했다. 중국과 일본은 냉각기를 거쳐 2년 만인 2014년 9월에야 외교라인 간 접촉을 재개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 3월 한국으로의 단체 여행을 금지한 '금한령' 조치를 내린 이후 이를 해제하지 않은 것도 마음을 놓을 수 없게 한다.

유통업계가 사드 보복에 따른 영업 타격을 줄이려면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하루빨리 돌아오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롯데마트 영업정지 조치 또한 여전하다. 현재 중국 롯데마트 점포 99개 중 74개는 중국 당국의 소방 점검에 따른 강제 영업정지 상태이고, 13개는 자율휴업 중이다. 전체 점포의 90%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머지 12개도 사실상 손님 발길이 끊겼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에서는 상황이 변화하는 걸 지켜보며 신중히 대처하겠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올해 연말 삼성동에 면세점을 열 예정인 현대백화점은 업계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필요한 경우 내년 초로 면세점 개장을 미룰 수 있다는 입장이다.

권민경 한경닷컴 기자 kyo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