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총선의 예비후보 등록 개시일을 앞두고 여야는 12일 오전 국회에서 회동해 선거구 획정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정의화 의장도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국회 정개특위 활동 시한인 15일까지 선거구 획정안에 합의를 하지 못하면 '특단의 조치'를 내놓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여야 협상을 독려했다.

그러나 가장 큰 쟁점인 비례대표 선출 방식을 놓고 여야가 접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주말 동안 협상 타결 전망은 높지 않은 것으로 예상된다.

농어촌 지역구를 살리기 위해 전체 지역 선거구를 늘리고, 비례대표 의석을 7석 안팎으로 줄인다는 데는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비례성 확보 방안에 대해서는 좀처럼 '평행선'의 간격을 좁히지 못하고 있어서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구 선거 결과와 정당 득표율을 연동하는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정당 득표율이 높아도 당선된 지역구 의원 숫자가 적으면 비례대표로 보충하는 제도다.

기존에는 정당 득표율을 100% 반영해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하도록 주장했으나 현재는 50%만 반영하는 절충안인 이른바 '이병석안'(案)까지 물러섰다.

정개특위 야당 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당이 아무런 문제해결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오죽하면 국회의장도 여당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지 않았느냐"면서 "협상 결과는 이제 여당에 달린 문제"라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은 선거구 획정과 별개 주제인 선거제도는 의제가 아니라며 선을 긋고 있다.

더군다나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할 경우 여당 의석 수가 줄어들 수 있다며 요지부동이다.

정개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이학재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야당이 선거구획정과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같이 논의하는 1+1 협상을 접어야 한다"면서 "야권이 지역구는 후보 단일화로 우위를 점하고, 연동형 비례제로 실속을 챙겨 과반을 무너뜨리려고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