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이 협의한 중소기업인 재창업 지원 제도를 놓고 자산관리공사(캠코)와 신용보증기금(신보)이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업무 영역 조정에 따른 인력구조조정 우려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4일 발표한 재창업 지원제도에 신보와 기술보증기금(기보) 등이 보유한 5년 이상 상각채권(회수 가능성이 낮아 손실 처리하는 채권)을 캠코에 매각하도록 하는 내용을 넣었다. 캠코는 이 채권을 받아 최대 50%까지 빚을 탕감해 줄 계획이다.

신보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안택수 신보 이사장이 공개적으로 “반대한다”고 발언하는가 하면 신보 관계자들은 “캠코에 넘어가 봤자 수수료만 더 물고 전혀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논리를 적극 펴고 있다. “신보는 자체적으로 채권 추심을 하는 데 비해 캠코는 외부 업체에 용역을 맡기기 때문에 채권 회수율을 높이지도 못하고 돈만 더 든다”는 주장이다.

캠코 관계자는 이에 대해 “신용회복기금을 운영하며 쌓은 노하우와 개인 채무정보를 활용해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고 응수했다. 금융계 한 관계자는 “신보의 매각 대상 채권 규모가 18조원에 이르지만 회수율을 감안하면 실제론 1800억원어치밖에 안 되기 때문에 채권 매각 자체는 큰 이슈가 아닐 것”이라며 “인력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가 신보의 반대 원인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산노조)이 지난 7일 “신보의 상각채권 매각에 반대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한 것도 구조조정을 우려해서라는 분석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신보의 구조조정 우려를 감안해 인력 조정이 필요치 않은 5년 이상 상각채권만 매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