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가 배신했다" 검열 방침에 이용자들 반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 트위터가 국가별로 특정 트위트(트위터에 올리는 메시지)나 트위터 계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자 세계 각지에서 반발이 일어나는 등 ‘검열 파문’이 커지고 있다. 트위터의 이번 조치가 민주화 운동 확산을 두려워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왕가(王家)의 자본이 최근 트위터에 투자된 것과 관련이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들은 29일 “트위터의 결정에 대해 세계 이용자들이 검열제도를 도입한 것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위터는 지난 26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특정 국가가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금지하고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트위트나 트위터 계정을 해당 국가에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나치를 찬양하는 트위트를 볼 수 없고 중국에서는 공산당 체제를 위협하는 글을 볼 수 없게 된다. 차단된 트위트나 트위터 계정에 접속하면 해당 국가에서는 ‘Tweet withheld(트위트 보류)’ 등의 메시지가 뜬다.

트위터의 발표 후 이용자들은 “트위터가 배신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중동의 민주화 운동인 ‘재스민 혁명’에서 트위터는 시위대의 네트워크 역할을 했고 세계의 반체제 인사들은 트위터를 ‘자유 발언대’로 삼았다. 당시 트위터는 “트위트는 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반체제 예술가 아이웨이웨이(艾未未)는 “만약 트위터가 검열을 한다면 트위터를 쓰지 않겠다”고 항의했다.

국제 언론감시단체인 ‘국경 없는 기자회’는 트위터의 공동 창업자인 잭 도시에게 항의 서한을 보내 “트위터가 억압받는 나라의 반체제 인사들에게 매우 중요한 도구를 박탈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가디언은 “트위터 발표 후 중동지역에서 가장 많이 올라온 트위트가 ‘젠장(sh**)’이었다”고 전했다.

트위터의 결정에 오일머니가 배후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사우디아리비아의 알 왈리드 탈랄 왕자가 트위터에 3억달러를 투자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거나 이슬람 율법에 위반되는 뉴스를 취급하는 온라인 매체나 웹사이트에 벌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다음달 마련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트위터 측은 “우리의 철학은 변하지 않았다”며 “새로 도입된 제도가 표현의 자유와 투명성을 증진시킬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동안 트위터는 문제가 되는 트위트를 아예 삭제해왔기 때문에 전 세계 모든 사용자들이 볼 수 없었지만 ‘국가별 삭제’ 방식은 해당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매셔블은 “특정 트위트나 계정을 차단한다고 관련된 모든 내용을 완전히 통제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트위터의 이번 결정은 차단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표현의 자유를 확장하는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정성택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