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그린홈 구상'은 아직 초기 단계다. 민간 건설업체들이 태양열이나 지중열(地中熱) 등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주택을 선보이고 있지만 제한적이다.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들도 생태도시를 건설하겠다고 앞다퉈 나서고 있지만 재원 마련이나 소비자 부담 등을 고려할 때 계획대로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도시'로는 2030년까지 충남 연기군과 공주시 일대에 건설될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가 대표적으로 꼽힌다. 개발 예정지역(72㎢)의 절반 이상(52.3%)을 공원이나 녹지 친수공간 등으로 꾸미기로 했다. 태양열,태양광,지열 등 신ㆍ재생 에너지를 적극 활용하고 정부 청사 옥상 전체(59만㎡)에 정원을 설치,1인당 CO2(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국내 다른 도시의 40% 수준으로 줄인다는 방침이다.

서울 강서구 마곡ㆍ가양동 일대 '마곡 R&D시티'(마곡지구)도 2031년까지 친환경 신ㆍ재생에너지 타운으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한강물을 끌어들여 친환경 워터프런트 타운(수변도시)으로 꾸밀 계획이다. 에너지 수요의 40% 이상을 수소 연료전지와 하수열,소각열 등 신ㆍ재생에너지로 충당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10㎿급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를 세우기로 했다.

대형 건설사들은 자체적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한 아파트 건축에 나서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작년 7월 입주한 대구 달성 래미안 아파트에 지중열을 활용해 온수와 냉ㆍ난방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국내 처음으로 적용했다.

정부도 친환경 주택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있다. 다음 달부터 에너지 효율이 높은 공동주택(100가구 이상)에 높이와 용적률 규제를 완화해줄 방침이다. 500가구 이상 공동주택에만 적용하는 '에너지성능등급 표시 의무제'를 모든 공동주택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업체들의 '그린홈 구상'에는 예산 마련과 소비자 부담을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걸림돌로 남는다. 태양열 발전기나 집열판 등을 설치하는 주택건설이나 친환경 신도시 조성에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 공사비와 분양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