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광웅(尹光雄) 국방장관이 29일이면 취임 2주년을 맞는다.

윤 장관은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군정권(軍政權)을 쥐었던 조영길(曺永吉) 전 장관이 2004년 7월29일 물러나자 곧바로 배턴을 이어받았다.

윤 장관은 역대 38대 국방장관 가운데 9번 째 최장수이지만 23대 윤성민(尹誠敏:1982.5~1986.1) 장관 이후 20년간 재임기간이 가장 긴 장관으로 기록됐다.

해군중장 출신으로 거대 국방조직의 총수를 맡은 그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 아래 비교적 군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고 군 개혁의 기반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윤 장관은 취임 2주년을 기념해 27일 국방부 출입기자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이런저런 문제들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담담하게 털어놨다.

먼저 윤 장관은 지난해 6월 국민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총기난사 사건으로 가장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경기 연천군 최전방 GP(전초) 총기난사 사건이 벌어졌을 때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 '낙마위기'를 맞았으나 노 대통령의 신임으로 위기를 모면했던 일을 상기한 것.
그는 "그러한 일들이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이 모든 국민들의 바람"이라며 "군도 이런 열망에 부응해 고질적인 병영악습을 척결하고 새로운 병영문화를 정착시키려고 애를 쓰고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취임 초기 계획했던 생각이 얼마나 이뤄졌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50% 가량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2009년까지 국방부에 근무하는 현역 직위의 40% 가량을 민간인으로 전환하는 문민화계획과 병영문화개선 작업이 일정궤도에 올랐다고 자평한 셈이다.

이들 과제는 윤 장관이 가장 역점을 뒀던 것이다.

여기에는 국방개혁기본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나머지 50%를 이룰 수 있지 않겠느냐는 희망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까지 69만여명의 총병력을 50만명으로 줄이고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육.해.공군본부 조직과 군 구조를 개편하는 내용 등이 핵심인 '국방개혁 2020'을 '국방개혁기본법'에 담아 다음 정권에서도 일관성 있게 추진한다는 계획이 야당의 반대에 부딪혀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윤 장관은 "국방개혁 법제화가 완성되면 기자들에게 한 턱 내겠다"는 농을 건널 정도로 국방개혁기본법안에 강한 애착을 나타냈다.

이와 함께 윤 장관은 자주적인 군대로서 국군의 위상을 회복하자는 취지에서 참여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전시 작전통제권 한국군 단독행사 방안에 대해서도 그냥 넘어가지 않았다.

그는 "지난해 말 합참에서 지상작전사령부 창설과 조기경보기 도입 일정 등을 감안해 2012년 쯤이면 가능하다고 내부적으로 검토했으며 이를 청와대에도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2010년께 1군과 3군을 통합해 지상작전사령부가 창설되고 2009~2012년까지 4대의 공중조기경보기가 도입되는 일정 등을 감안할 때 2012년께면 전시 작통권을 단독행사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내부검토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작통권 조기 환수에 대한 사회 일각의 우려감이 커지고 있고 미측도 2010년 이전에라도 넘겨줄 수 있다는 다소 '감정 섞인 태도'로 나오고 있기 때문에 합참이 내부적으로 검토한 시기와 맞아 떨어질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우리 정부에 반환될 미군기지 환경오염 치유문제가 진통을 겪고 있는데 대해서도 윤 장관은 답답한 심경을 내비쳤다.

윤 장관은 "반환예정 기지는 주한미군이 50년 가량 주둔해 환경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이라크에 파병된 우리 자이툰부대도 오염문제와 관련, 같은 상황에 처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역지사지'(易之思之)를 강조한 셈이다.

그는 "전체 미군기지가 오염된 것처럼 보는데 현재 우리 데이터를 보면 (오염면적이) 약 9% 정도 된다"고 말했다.

또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검토된 것으로 알려진 문민 국방장관 임명에 대한 견해도 피력했다.

윤 장관은 "문민 국방장관에 대한 생각은 지금도 마찬가지"라며 "군 출신이 아니면 안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가장 바꾸기 힘든 부분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국방부 업무체계를 바꾸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해 올해 후반기부터는 업무체계 개혁에 박차를 가할 것임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이귀원 기자 threek@yna.co.krlkw77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