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3월 정부가 야심차게 제시한 'IT 839' 정책의 8대 서비스 중 하나였던 인터넷 전화는 아직 해결하지 못한 많은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가장 큰 과제는 인터넷 전화 가입자수 증가세가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8월 삼성네트웍스 등 별정통신 사업자들이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다양한 멀티미디어형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가입자 증가 속도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당초 '070-xxxx-xxxx'를 인터넷전화 식별번호로 정하고 올해 말까지 4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070 인터넷 전화'는 서비스 시작 10개월이 지난 현재에도 가입자가 10만명(전화회선 기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격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터넷통신 사업자도 3~4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통부는 연초에 IT 839를 시대에 맞게 재구성한 u-IT839 전략을 발표하면서 인터넷 전화를 전략 과제에서 빼버렸다.

지난해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게 제외 이유다.

관련 업계는 관련 업계대로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인터넷 전화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만든 070 번호 제도가 오히려 진입 장벽을 높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에서 한 번도 사용한 적이 없는 '070' 번호를 인터넷 전화 식별 번호체계로 할당했으나 해외 로컬 사업자들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국내에서도 빌딩에 설치한 사설 교환기에 070 번호가 등록돼 있지 않은 곳이 많아 착신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삼성네트웍스가 최근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6% 정도는 인터넷 전화에 대해 알고 있지만 '070' 식별번호에 대한 인지도는 11.7%에 불과했다.

'070'을 안다고 응답한 사람의 20%가량은 국제전화 번호로 대답했다.

심지어 '070' 인터넷 전화 번호가 '060' 스팸번호로 인식돼 이용자들이 인터넷 전화의 수신을 거부하는 현상까지 발생했다.

인터넷 전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만든 식별변호가 거꾸로 인터넷 전화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셈이다.

이와 함께 인터넷 전화는 랜선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바로 꽂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자 추적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가입자의 위치정보에 근거한 119 등 긴급통신 서비스 제공에 제약이 생겼다.

아직은 가입자들에게 해당 사항을 사전 고지하는 정도에 불과하지만 장기적으로 인터넷 전화의 위치정보에 대한 파악 기술 및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

또 인터넷 서비스 확산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해킹과 보안 위험으로부터 인터넷 전화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해외 업체와의 경쟁도 고려해야 한다.

'스카이프'와 '보니지' 등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운 다국적 인터넷 전화 사업자들이 국내 시장에 속속 진입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은 치열한 경쟁의 한복판에 몰리고 있다.

2000년대 초반 등장한 낮은 품질의 인터넷 전화를 기억하는 소비자들의 인식도 인터넷 전화 확산의 걸림돌로 자리잡고 있다.

인터넷 전화 사업자들은 소비자들이 인터넷 전화를 과거 3년 전의 '다이얼 패드' 정도의 무료 저품질 서비스로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런 문제점에 대해 인터넷 전화 업계는 정부 등 공공기관이 먼저 나서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도입하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기 시장 개척에 소극적인 기간통신 업체에 대해 정부의 독려가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런 업계의 목소리에 대해 정통부는 각종 연구기관을 통해 초기 시장 활성화를 위한 해외 사례 연구 등을 지원하고 인터넷 전화와 관련 부가 서비스의 기반기술에 대한 지원에 힘쓴다는 입장이다.

삼성네트웍스 전홍균 상무는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서비스 업체들도 보다 넓은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공정한 경쟁 체제를 갖출 수 있는 성숙한 시장 환경도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