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자산운용업 규제완화 방안을 발표했다. 저금리·고령화 추세와 다양한 투자 상품의 등장으로 최근 펀드 규모가 200조원을 넘어설 정도로 수요가 급증하는 만큼 자산운용에 대한 각종 규제를 푸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본다. 특히 정부의 동북아 금융허브 계획이 성공하려면 주식 채권 외환시장 등과의 연관관계가 큰 자산운용업의 육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보다 더 과감(果敢)하고 적극적인 규제완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당장 이번 규제완화만으로도 자산운용사와 사모펀드(PEF)의 설립이 쉬워지고 운용폭이 크게 넓어지게 됐다. 내년부터는 파생상품 부동산 선박 등 '틈새시장'을 겨냥한 전문 자산운용사와 펀드 설립이 가능해지는 등 시장의 활성화가 기대될 정도다. 펀드판매전문회사 설립과 보험설계사의 펀드판매 허용 등 판매 채널이 다양화된 것도 시장 발전에 크게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 영세한 국내 자산운용업계를 생각하면 걱정이 앞서는 것도 사실이다. 전체 자산규모는 물론이지만 펀드당 평균금액도 작년 말 현재 286억원으로 미국(1조1000억원) 일본(1596억원) 등에 비해 턱없이 적은 실정이다. 하루빨리 대형화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살아남기 힘들다는 얘기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47개 자산운용사중 20개인 외국계의 시장 점유율이 40%에 육박하는 것만 봐도 그런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국내 시장을 외국계의 잔치상으로 만들지 않으려면 자산운용회사들이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쉽게 대형화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規制)를 모두 풀어야 한다. 금융회사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는 등 산업자본의 참여를 사실상 막아놓고 있는 사모펀드에 대해서도 각종 운용상의 규제를 없애 외국계 펀드와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문인력 양성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