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LCD패널 생산업체인 샤프는 첨단 LCD 가공기술의 열람범위를 극소수 임원으로 제한하고 일부 기술은 아예 특허등록도 회피하고 있다. 올해초 액정패널·TV 등의 일괄생산을 위해 1천억엔을 들여 설립한 미에현 가메야마공장의 경우 공장 전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임원을 마치다 가쓰히코 사장 등 2∼3명으로 한정했다. 샤프는 한 발 더 나아가 완제품 공장을 해외에 설립할 경우 기술 유출의 우려가 높다고 판단,향후 신설할 5개 공장 모두를 일본 내에 설립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 중이다. 일본 기업들은 내부 기술유출과 산업스파이 침투에 대비,철저한 내부보안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인적 보안은 물론 회사 내 인트라넷망에 대한 등급별 관리에서부터 이중삼중의 안전망을 치고 있다. 캐논의 경우 아예 제조용 기계와 공구를 회사 외부에서 구입하지 않고 직접 제작하고 있다. 외부에 생산장비를 발주함으로써 차세대 제품의 생산정보와 관련기술이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다. 마쓰시타는 가전 디자이너(2백70명) 중 최상위급 연구원이 퇴직할 경우 과제위탁 계약을 체결,경쟁국 업체로 취업하는 것을 원천차단하는 엄격한 퇴직자 관리제도를 시행 중이다. 히타치는 PC로 인한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오는 2008년까지 사내 업무용 PC를 모두 네트워크 단말기(NC)로 교체키로 결정했다. NC는 개인정보의 저장과 입출력이 불가능하고 모든 소프트웨어는 본사의 중앙서버를 연결해야만 접근할 수 있다. 또 사원에게 별도 인증장치를 배포,네트워크 접속때마다 자격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첨단기술의 결정체인 반도체의 경우 특정 연구원이 전체 사업내용을 아예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각 공정의 노하우를 담은 '레시피(recipe)'를 따로 떼어 전체 공장의 진행 과정과 노하우에 대한 접근을 할 수 없도록 차단시키고 있다. 일본 정부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2003년 2월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지식재산전략본부'를 발족시켜 지식재산 취득및 관리지침과 영업비밀 관리지침 등을 차례로 발표했다. 경제산업성도 내달 중 '기업가치연구회'를 설립,기업비밀 보호및 기술유출 대응책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연료전지 LCD 등 핵심 특허기술의 해외이전과 해외공장 신설을 통제하는 방향으로 부정경쟁방지법 개정도 추진 중이다. 최근 중국 등 해외공장에서 핵심정보의 유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데 따른 조치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