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중국이 개방.개혁을 시작했던 당시와 유사한 상태로 아직 개간하지 않은 처녀지와 같습니다" 중국의 민영기업으로 대북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베이징 중조우련문화교류공사(中朝友聯文化交流公司) 청펑(程鵬) 부이사장이 지난 달 26일 중국경영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렇게 진단했다. 그는 "그래서 대북 진출을 하는 데서는 의사결정이 상대적으로 늦은 대기업보다는 중국의 중소기업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고 KOTRA가 3일 전했다. 이 회사는 올 2월 북-중 민간 상업교류와 대북 투자업무를 주요 목적으로 설립된 중국의 민영 주식회사로 북한 당국의 위임을 받은 상태다. 이어 청 부이사장은 중국 기업의 대북 비즈니스 기회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는 "비록 현재 북한의 인프라 미비와 물자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개방이되면 기초건설 프로젝트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며 "북한은 외국인투자법을 통과시켜 외국 투자자가 공업, 농업, 건설, 운수, 우편 전신, 유통, 금융 등 각 영역의 투자가 허용되고 있으며 토지와 세수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 부이사장은 북한 시장의 구매력 결핍 문제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다. 그는 "북한경제가 오랜 기간 정체해서 시장 구매력이 결핍되었다는 지적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북한 주민들은 일정 현금과 외화를 보유하고 있다"며 "라면, 담배 등일용품에서 자동차, 텔레비전 등 고급 소비재까지 북한의 민간 상품시장의 수요가많아지고 있으며 부유층의 구매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요소"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그는 변경무역의 번성으로 민간 외환시장도 기본적인 규모를 형성하고있다고 덧붙이고 있다. 그러나 그는 "북-중간 무역형식은 정부간 기장식 결제 형식과 변경무역의 바터무역 등 두 가지 형식이 있다"며 "바터무역은 주로 중국의 곡물과 과일이 북한의 수산물과 인삼 등 특산물이 교환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규범화가 필요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청 부이사장에 따르면 현재 북한 당국은 광물과 산림 분야에 대해 외국기업의투자를 허용하고 있으며, 북한이 8천600㎞에 이르는 `무공해 해안선'을 지닌 만큼앞으로 외국기업의 기술 및 자본과 결합하면 연해 어업과 해수 양식, 해산 가공업등의 분야에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 회사는 북한 관광총국의 승인을 얻어 오는 6월 북한에 시찰단을 파견, 대북투자 및 합작사업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 기자 ly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