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해외 이전이 늘면서 '제조업 공동화(空洞化)'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이는 지표상 근거가 없는 '기우(杞憂)'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LG경제연구원은 29일 '제조업 공동화 논란의 허실'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공동화를 진단하는 대표적인 경제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부문 부가가치 비중과 고용 비중을 놓고 볼 때 제조업 공동화에 대한 최근의 우려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불변가격 기준)은 70년대 10% 수준에서 98년 4분기에 30%를 넘어선 뒤 최근에는 33∼34%대로 올라서 미국 독일 일본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17∼23%대·2000년 기준)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또 미국과 일본이 1인당 국민소득 1만달러를 달성했던 지난 77년과 80년 당시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은 각각 22.8%와 28.2%로 한국의 지난해 3분기(28.6%·명목가격 기준)보다 낮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제조업 부문의 고용비중도 지난 98년 20% 미만으로 떨어진 뒤 지난해까지도 19%대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어 최근 들어 제조업의 고용흡수력이 급격히 약화됐다는 주장은 근거가 희박하다고 LG경제연구원은 분석했다. 박래정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조업 공동화가 관심을 끄는 것은 내수침체와 청년실업 증가,만연한 사회갈등 등으로 기업환경이 악화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며 "현재 상황은 제조업 공동화라기보다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는 과정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