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상황"을 보면 재산을 불린 공직자들이 늘어났다. 재산증가자 비율은 지난해 73.8%에서 75.2%로 높아졌다. 노무현 대통령은 월급저축과 권양숙 여사의 빌라 매각대금 입금 등으로 2백18.4%나 증가했다. 지난해 경기침체와 실업사태 등으로 "삼팔선"(38세면 정년)"이태백"(이십대 태반은 백수)이라는 유행어까지 나돌 만큼 국민수입이 지지부진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에 따라 행시.외시 등은 물론 7.9급 공무원 공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면서 공직에 대한 달갑지 않은 정서가 형성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노 대통령 신고누락 논란 노무현 대통령은 재산공개 공직자 중 12번째로 재산이 많이 늘었다. 지난해 첫 신고때 빌라매각 대금을 누락했던 데다 취임 후 받은 봉급 대부분을 저축한 데 따른 것이다. 노 대통령은 급여 1억2천만원,수당·직급보조비 8천만원 등 연간 2억원을 받는다. 다른 수입이 없다면 연봉을 대부분 저축했다는 얘기다. 권양숙 여사의 빌라매각 대금은 당선자 시절 매각한 서울 명륜동의 잔금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지난해 신고때 집 판 대금 2억6천만원을 채권으로 신고했어야 하는데 빠뜨려 실제 증가분은 1억8천1백만원이라는 것이다. 노 대통령은 권 여사 명의의 보험 2건 4백만원과 건호씨가 가입한 보험 1건 3백만원도 지난해 신고때 빼먹었다. 노 대통령은 결국 지난해 재산의 절반 이상을 신고에서 누락한 셈이다. ◆고위공직자 얼마나 증감했나 재산공개 대상인 국무위원 14명 중 김화중 복지부 장관을 제외한 13명은 재산이 불었다. 1억원 이상 재산이 증가한 고위공직자는 93명에 달했다. 고건 총리는 본인과 부인의 예금 2천8백여만원,차남의 주식은 8천7백여만원 늘었다. 그러나 부친의 예금 사용(5천여만원)과 장남의 빚 변제(6천3백여만원),며느리들의 대출(6천9백여만원) 등으로 전체적으로는 6천8백여만원 감소했다. 강금실 법무장관은 법무법인 지평에서 받은 퇴직위로금 2억8천5백만원과 봉급저축(2천5백만원) 등에 힘입어 2억5천8백여만원이 늘었다. 국무위원 중 재산 증가액은 진대제 정통부 장관에 이어 2위다. 그러나 지난해 빚이 9억3천여만원에 달해 재산은 여전히 마이너스 6억7천여만원으로 계산됐다. 김화중 복지부 장관은 국무위원 가운데 유일하게 재산이 줄어든 케이스다. 생활비 사용 등으로 재산규모는 8백80여만원 줄어들었다. 국무위원 가운데 재산가로 널리 알려진 진대제 정통부 장관은 재산증식 규모가 30억원으로 전체 공개대상 가운데 증가 2위를 차지했다. 건물 주식 매각으로 29억여원을 벌었고 전 직장에서 받은 퇴직금으로 13억원의 삼성카드 채권을 사들였다. ◆역시 부동산과 주식 고위공직자들은 부동산과 주식으로 울고 웃었다. 특히 부동산 실거래가격이 아닌 공시지가나 기준시가로 재산을 공개하는 바람에 실제 매매가 있었던 경우 희비가 극명하게 교체했다. 아파트 빌라 땅을 팔았다면 거의 모두 재산이 불었지만 부동산을 매입했으면 반대로 대부분 재산규모가 푹 줄었다. 윤웅섭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땅을 판 가격과 공시지가와의 차액 7억2천여만원을 이번에 재산증가로 신고했다. 김영화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장,김용달 한국산업안전공단 이사장,김재갑 국립암센터 원장,권오룡 행자부 차관보 등은 아파트 매각차액으로 재산이 불었다. 박기호·허원순 기자 kh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