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근로자들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에서 소외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부가 10일 전체 임금 근로자의 27.3%(360만2천명)를 차지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보험 적용실태와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21.5%로 정규직의 63.2%에 비해 크게 낮았다. 건강보험 가입률도 정규직의 65.7%에 훨씬 못미치는 23.8%로 나타났다. 실직때 실업수당 등을 받을 수 있는 고용보험 가입률의 경우 21%에 불과해 정규직의 56.7%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비정규직 가운데 시간제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국민연금 1.1%, 건강보험 2.2%, 고용보험 1.6%에 머물렀다. 이와함께 비정규직에 대한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 결과 30,40대가 48.9%를 차지했으며, 학력별로는 고졸이하가 81.8%에 달했다. 직업별로는 남자는 주로 `기능.기계조작.단순노무직'(66.8%), 여자는 서비스 판매직(42.2%)에 종사하고 있다. 고용계약기간은 1개월 이하가 52.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1개월∼1년미만이 25.5%, 1년이 12.9% 순이었다. 또한 비정규직의 73.2%가 30인 미만의 사업체에 근무하고 있으며, 특히 여자는5인미만 영세사업체에 근무하는 경우가 38.6%로 가장 많았다. 노동부 관계자는 "노사정위 논의를 통해 사회 안전망에서 소외돼 있는 비정규직근로자에 대한 보호방안을 마련중"이라며 "이와 별도로 건설일용근로자에 대한 고용개선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비정규직 관련 사업장에 대한 지도감독을 실시하는 등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기자 ofcour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