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정부의 규제와 보호아래 있던 국내 노동시장이 점차 경쟁체제로 바뀜에 따라 임금구조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능력주의 신(新)인사제도,산업구조의 고도화,비정규직 근로자 증가 등에 따라 이같은 경향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LG경제연구원은 2일 노동부의 "임금구조 기본 통계조사 보고서"의 자료를 인용,90년대 중반 이후 근로자 계층별로 임금소득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월평균 소득 2백만원 이상 근로자가 전체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94년 5.7%에서 95년 10.0%,97년 20.4%,2000년 26.6% 등으로 급등,중간 임금계층에 비해 고임금층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성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와 관련,"능력위주 인사로 핵심 근로자의 임금에 대한 연공.경력파괴 현상이 확산되면서 고임금 계층이 두터워지고 있는 것"이라며 "부가가치가 큰 첨단산업 비중이 높아지면서 고급 인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도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또 "외환위기 이후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시간.계약.일용직 등 비정규직 저임금 근로자들의 비중이 크게 늘어 지난 9월 기준 무려 51.4%에 달했다"며 "임금구조 양극화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경력별 임금격차는 지속적으로 축소돼온 것으로 조사됐다. 경력 1년미만 근로자 임금수준을 1백으로 했을 때 10년이상 근로자의 임금수준은 지난 85년 2백67.0이었지만 90년 2백17.6,2000년 1백91.6 등으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