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근 원화환율이 1천3백원대의 상승 국면을 지속하면서 통화당국과 수입원자재 비중이 높은 기업들에 "환율 비상"이 걸렸다.

원화환율을 끌어올리는 가장 큰 요인은?

가) 무역흑자 확대
나) 이전수지 감소
다) 외자유입 증가
라) 엔화 약세

[2] 국내 환율제도는 1945년 미 군정당국에 의해 고정환율시스템으로 출발한 이래 크게 네차례에 걸쳐 개편됐다.

개편된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단일변동환율제도->복수통화바스켓제도->시장평균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나) 복수통화바스켓제도->시장평균환율제도->단일변동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다) 단일변동환율제도->시장평균환율제도->복수통화바스켓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라) 복수통화바스켓제도->단일변동환율제도->시장평균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3] 원화 환율은 한국이 큰 폭의 무역흑자를 구가했던 80년대 후반 초강세를 보였으나 외환위기가 몰아닥친 97년말에는 급등하는 등 갖은 풍랑을 겪어 왔다.

"3저 호황"을 누렸던 80년대말 최저점까지 내려갔을 때의 환율과 외환위기 당시 최고점으로 올라갔을 당시의 환율로 가장 비슷하게 짝지어진 것은?

가) 6백20원-2천50원
나) 6백60원-1천9백60원
다) 6백90원-1천9백90원
라) 7백10원-1천9백20원

---------------------------------------------------------------

한동안 지속됐던 원화환율 급등세가 주춤해졌다.

4월초 달러당 1천3백65원20전(종가기준)까지 치솟았던 환율이 최근 1천3백원선으로 내려앉았다.

엔화 환율이 하락세로 돌아선 덕분이다.

지난달 2일 달러당 1백26.68엔까지 상승했던 엔화 환율은 요즘 1백20엔선에서 안정돼 있다.

그러나 원화환율이 완전히 안정세를 회복한 것으로 낙관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 많다.

엔화값이 아직 추세적 약세를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현 2.4분기중 엔화 환율이 달러당 1백30엔에 육박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원화 환율은 1천4백원벽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는 경고를 내놓고 있다.

일본의 디플레이션이 심화되고 경상수지가 악화되는 등 엔화약세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다는 지적이다.

원화환율은 왜 엔화값에 그토록 민감하게 반응하는 걸까.

일반적 상황에서는 상품의 수출이 수입보다 많고 서비스 수입이 지급을 초과, 경상수지가 흑자를 내거나 외자 유입의 확대 등으로 자본수지 흑자가 발생하면 환율이 하락(통화가치 상승)한다.

흑자폭 만큼 외환(달러) 공급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요즘 우리 경제는 (경기둔화에 따른 수입 급감으로) 경상수지 흑자폭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환율도 하락해야 마땅하다.

그런데 왜 현실은 정반대일까.

거기에는 그럴만한 까닭이 있다.

외환시장 참여자들이 엔화 약세로 인해 한국의 향후 수출경쟁력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 보유 원화를 팔아치우고 있기 때문이다.

환율이 자유화된 이후 엔화값에 대한 민감도가 커지면서 이같은 "원.엔 동조현상"이 부쩍 두드러지고 있다.

우리나라 환율제도의 효시는 1945년 10월 미 군정당국이 대 민간거래에 적용하기 위해 도입한 고정환율제도.

옛 통화기준으로 달러당 15원(圓)에 환율이 고정돼 있었다.

그 후 화폐개혁 등을 거치면서 64년 5월 단일변동환율제도로 바뀌었으나 한동안 달러당 2백55원에 고정 운영됐다.

이후 원화환율은 4백84원까지 올라갔으나 공식환율이 시장 실세를 훨씬 밑도는 등 부작용이 심화되자 정부는 80년 1월 고시환율을 5백80원으로 인상했다.

그리고는 원화값을 미국 달러 외에 일본 엔, 독일 마르크 등 주요 교역상대국 통화의 국제시세에 연동하는 복수통화 바스켓환율제도로 개편했다.

원화환율은 80년대 후반 국제수지의 대폭 흑자 전환 등으로 급락했다.

85년 8백90원20전으로까지 올랐던 환율이 89년 4월22일에는 6백65원90전으로까지 떨어졌다.

환율제도는 90년 3월보다 자유화되는 방향으로 또다시 바뀐다.

시장에서의 외환수급에 의해 환율을 결정하되 하루 변동폭을 ±0.4%로 제한하는 시장평균환율제도로 이행했다.

이어 외환위기의 와중에서 모든 고삐를 풀고 완전 자유화됐다.

97년 12월16일부터는 하루 환율변동폭 제한이 완전히 폐지돼 명실상부한 자유변동환율제도로 새출발한 것.

완전 자유화 조치는 당시의 외환위기 상황과 맞물려 원화 환율을 수직 상승세로 몰고갔다.

한국이 국가부도 일보직전에까지 몰렸던 97년 12월24일 1천9백64원80전(종가 기준)으로 치솟기까지 했다.

그러나 IMF(국제통화기금)의 조기 지원 결정 등에 힘입어 하락세로 반전, 일주일 뒤 1천4백15원20전으로까지 내려앉으면서 혼란 국면이 수습됐다.

일부 기관의 전망대로 올 상반기중 원화 환율이 다시 1천4백원대 시대로 되돌아갈 것인지 주목된다.

이학영 기자 haky@hankyung.com

---------------------------------------------------------------

< 문제 정답 >

[1] 라) [2] 가) [3]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