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분산제의 전국민 확대시행이 한 방안으로 꼽히고 있다.
우리나라는 휴가가 7월말~8월초에 집중되는 탓에 교통.숙박난, 바가지 요금으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 등 부작용에 해마다 몸살을 앓고 있다.
관광수입에 의존하는 지역경제와 관광업체도 비수기만 되면 고용불안이 생기는 등 문제가 잇따랐다.
이는 한철 장사해 1년 먹고사는 왜곡된 관광산업구조를 고착화시켜 민간투자를 가로막는 걸림돌로도 작용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 6월 문화관광부가 마련한 "휴가분산제도 실시계획"으로 한국관광진흥에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계획에 따르면 올 상반기 공사와 정부투자기관 등 공공부문에서 휴가분산제가 시행된다.
하반기부터는 민간부문으로의 확산을 위해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체도 참여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여름 휴가철을 피해 관광비수기에 휴가를 가는 직장인들에게는 휴가일을 며칠 더 주도록하는 당근책도 적용시켜간다는 구상이다.
휴가분산제의 정착을 위한 여건도 조성되고 있다.
초.중.고교의 방학을 학교장이 학교여건과 지역특성을 감안, 아무때나 실시할수 있도록 됐기 때문이다.
전국 33개 초.중.고교가 주 5일 수업 실험학교로 선정되며 일반학교에는 토요일 자율등교제가 도입되는 것도 긍정적 요인이다.
휴가분산제가 확대실시되면 여행경비는 줄어드는 비해 관광객의 지출은 늘어나 관광산업의 실질적인 매출증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관광연구원은 휴가분산으로 인한 관광객의 휴가비용 감소효과는 연간 9천2백45억원인 반면 지출은 1조1천9백72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관광불편해소로 관광산업 및 유관산업이 활성화돼 3조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울러 관광객의 심리적 만족도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프랑스 영국 독일 등 관광선진국에서는 이미 휴가분산제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는 비수기인 11월1일부터 4월30일 사이에 휴가를 가는 사람에겐 휴가일수를 1~2일 더 주도록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