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세계경제는 "부시노믹스(Bushnomics)"가 지배한다.

조지 부시 텍사스 주지사의 차기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 경제는 물론 세계경제의 "좌표"가 바뀌게 됐다.

제2의 레이거노믹스로 불리는 부시노믹스라는 새로운 틀을 바탕으로 장기호황의 지속을 위한 당금질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세계경제의 엔진이라고 불리는 미국의 선택은 한국은 물론 전세계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부시노믹스의 뿌리는 1981년 미국의 레이건 행정부가 경제회생책으로 내세운 이른바 레이거노믹스다.

<>정부지출 억제 <>대규모 감세 <>규제완화 <>인플레 억제 등이 골자다.

경제에 단기적인 자극보다는 근본적인 활력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시노믹스의 핵심은 "친기업정책"이다.

부시 당선자가 "대폭적인 세금감면"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것은 바로 기업의 비용부담을 덜어줘 기업활동을 한층 자극하겠다는 것이었다.

부시 당선자는 집권후 10년동안 재정흑자 예상액 가운데 1조3천억달러를 조세감면에 지출하고 남은 돈은 납세자에게 돌려주겠다고 약속했다.

또 상속세를 폐지해 기업인들의 성취의욕을 북돋우겠다는 파격적인 공약도 제시했다.

따라서 미 국민들의 납세액이 줄어들고 소비지출이 늘어남에 따라 미국 경제는 단기적으로 호황을 이어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월가에서는 부시 후보의 당선이 미 증시에는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미 경제가 순탄하게 연착륙을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고어노믹스가 작동해 기업활동이 왕성해지면 주가는 상승국면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 증시가 다시 살아날 경우 그동안 동반침체를 벗지못했던 세계증시도 힘을 받을 공산이 크다.

특히 정정불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시아 지역의 경우 10월말이후 미국 뮤추얼펀드가 순유입세로 돌아선 점등을 감안할때 미 증시의 본격적인 상승국면 전환은 대형 호재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게다가 재무장관 물망에 오르고 있는 부시의 경제자문 로렌스 린지가 "확고한 강한 달러"를 선호하고 있어 아시아 유럽 등 세계 각국은 수출시장에서 그동안의 잇점을 그대로 향유하게 됐다는 점도 세계경제에는 호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 경제에 고어노믹스의 위력이 발할 경우 둔화세에 접어든 미국경제는 물론 세계경제는 다시 활황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고어노믹스가 안고 있는 한계도 없지 않다.

우선 기업활동 및 소비지출 자극을 통한 경제 견인은 인플레를 유발할 위험을 안고 있다.

이 때문에 빠르면 올 연말로 예상되고 있는 연준리(FRB)의 금리인하가 늦춰질 우려도 없지않다.

게다가 연방정부 빚상환일정의 재조정도 불가피해질 수밖에 없어 시장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높아 자칫 주가상승의 걸림돌로 작용할 소지도 없지않다고 지적된다.

미국의 금리인하 시기가 늦춰지면 그동안 긴축정책을 펴왔던 각국 정부가 경기둔화에도 불구하고 섣불리 금리인하에 나서기에는 적잖은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금리를 내렸다가는 국제자금이 해외로 빠져 나가는 등의 사태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경기 연착륙에 접어든 미국경제의 항로는 부시노믹스와의 조화 뿐아니라 고유가 등 국제경제의 현안들이 어떻게 풀려가느냐에 따라 구체적으로 가닥잡힐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