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지난 10월 8일까지 발생한 노사분규 건수는 모두 2백5건.

지난해 같은 때의 1백65건보다 24.2% 증가했다.

노동손실 일수도 1백58만3천4백32일로 전년 동기대비 34.2% 늘어났다.

지난해말까지만도 근로자의 임금보전 욕구 등으로 올해 노사관계가 아주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그렇지만 대우차를 제외하고는 국민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줄 정도의 대형 파업사태는 거의 없었다"(노동부 안경덕 서기관)

올해 노사관계가 그런대로 안정세를 유지한 것은 기업들이 임금인상 요구를 대부분 수용한데다 고용안정의 중요성에 대한 근로자들의 인식이 각별해졌기 때문이다.

현대전자 LG전자 등 대기업 노조가 신노사문화 창출에 적극 나서고 서울지하철노조가 실리주의로 변신하는 등 새로운 노사관계 흐름이 형성된 영향도 크다.

노사협상의 중점은 임금 인상 위주에서 삶의 질 개선으로 옮겨가고 있다.

일류기업일수록 노사가 모두 이익을 얻은 "자아실현형" 교섭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 등은 인터넷을 통해 최고경영자에게 불만을 토로하고 제안을 내는 개별적인 의사소통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근로조건도 근로자의 능력에 따라 결정되는 추세가 확연해지고 있다.

성과급 스톡옵션 등 다양한 성과급이 도입되고 있다.

노동연구원 박우성.노용진 연구위원이 지난 8월 2백56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봉제를 도입한 기업은 조사대상의 66.8%로 98년의 30.7%보다 높아졌다.

그렇다고 해서 결코 안심할 때는 아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경제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해 금융및 공공부문 개혁을 내년 2월까지 끝내겠다고 못박았다.

이미 부실대기업 솎아내기 작업이 본격적으로 진행중이다.

전력 통신 체신등 공공부문의 구조조정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근로시간 단축등 제도개선 과제를 놓고 노사정간에 대타협이 이뤄질 가능성도 낮다.

따라서 인위적인 감원을 막고 근로시간 단축 등을 얻기 위해 양대 노총 차원에서 실력행사에 나설 공산이 크다.

홍성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 주도로 노동관계 법률이 개정될 경우 노사의 불만이 커져 내년도 임금및 단협교섭 시기에 집중적으로 표출될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렇게 될 경우 국내 노사관계는 국제적으로 설 땅을 잃게 된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매긴 한국의 노사관계 경쟁력은 지난 94년 38위에서 99년에는 46위로 추락했다.

지난 2월 산업정책연구원이 발표한 국내 노사화합지수는 78.8점으로 51개국중 37위에 그쳤다.

글로벌경제체제에서 경영자들은 노사분규가 없으면서도 노동시장이 유연하고 임금체계가 유리한 나라를 선호한다.

노사관계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나라에 "밝은 미래"는 없다.

결국 우리나라는 민주적 참여와 협력을 통해 기업과 근로자의 경쟁력을 살리고 공평 분배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강화해야 한다.

우선 생산성 제고를 통한 고용 안정과 복지 향상, 경영 참여에 주력해야 한다.

노동운동도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절차를 따라야 한다.

노사간 대등한 입장에서 파트너십을 형성해야 한다.

노사관계 경쟁력을 키울수 있는 유력한 방법이 바로 초우량작업조직 도입이다.

이 조직은 숙련공이나 지식근로자의 육성을 중시하고 다양한 경영참가를 통해 근로자의 기술 향상과 창의성 발휘를 유도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3.4분기 신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16개 기업은 대체로 초우량작업조직의 성격을 갖고 있다.

회사는 인간을 존중한다는 경영이념을 실천하고 있으며 근로자와 회사가 같이 발전한다는 동반자 의식을 갖고 있다.

이들의 모범사례는 국내 다른 기업이 갈 길을 제시하고 있다.

이병훈 중앙대 교수는 노사관계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경영자에 대한 노사관계 특별 교육 <>노사협력 우수업체 혜택 확대및 "노사협력 인증제" 도입 <>"신노사문화프로그램 은행" 신설 <>노조 간부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기회 제공 등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최승욱 기자 s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