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국제금융환경이 변함에 따라 각 시장의 실세금리를 대표하는 기준금리가 변경되고 있다.

지난주에는 월스트리트 저널이 새로운 기준금리를 기존의 30년만기 국채수익률에서 10년만기 국채수익률로 변경했다.

유럽에서도 리보금리보다는 유리보 금리를 중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사정은 다르지만 우리도 지난해 2월부터 정부가 의도적으로 3년만기 회사채 수익률에서 국고채 수익률로 유도하고 있다.

어떤 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련 시장이 발전돼 충분한 유동성(liquidity)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동시에 한 나라의 금리체계에 있어 시장상황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대표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최근 들어 미국과 유럽에서 기준금리가 바뀌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측면에 기인하고 있다.

금년 들어 미국은 재정수지흑자를 이용해 30년만기 국채를 우선적으로 상환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10년만기 국채시장은 커지면서 미국의 채권시장을 잘 대변하고 있다.

유럽에서도 지난해 1월 유로화 출범 이후 눈에 띄지는 않지만 런던시장이 유로랜드의 역외금융시장으로 위상이 약화되고 있다.

대신 프랑크푸르트를 중심으로 역내 채권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금년 들어서는 시장참여자들도 자금운용에 있어 리보금리보다는 유리보 금리를 중시하고 있다.

우리는 국채시장을 활성화하려는 정책적인 의도에서 국고채 수익률을 기준금리로 가져가는 측면이 강했다.

그래서 인지 아직까지 시장참여자들이 회사채 수익률을 중시하고 있다.

최근에 발표된 "채권시장 선진화 방안"을 계기로 국채시장이 활성화될 경우 국고채 수익률을 감안하는 정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처럼 기준금리가 변경된다는 것은 국제기채시장에서 변경된 기준금리와 관련된 채권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당연히 자금조달 측면에서 이 시장에 맞추는 것이 유리하다.

상대적으로 자금조달 금리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자금조달에 따른 부대비용도 규모의 경제를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자금을 상환할 때에는 초기 자금조달 조건에 따라 다르다.

우선 고정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

문제는 변동금리로 자금을 조달한 경우다.

아무래도 기존의 기준금리에 연동돼 자금을 조달한 경우에는 이자상환부담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그만큼 기준금리 변경에 따라 기존의 기준금리와 관련된 채권시장이 홀대를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금융기관과 기업들은 대부분 변동금리로 자금을 조달했다.

최근처럼 기준금리가 변경되는 상황에서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해야 하는 것도 이런 연유다.

앞으로 기준금리는 최근 미국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갈수록 단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투자가들의 자금운용이 단기화되고 있고 금융영역이 파괴되면서 대체투자수단과의 연계상품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재정에 여유가 있는 국가들도 국채유지 부담이 높은 장기채권을 우선적으로 상환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국내 통화당국의 금리정책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국제간 자금흐름의 결정요인으로 단기금리가 중시되는 상황에서 최근처럼 국제금리가 올라갈 경우 외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내 단기금리를 올리거나 아니면 자본이득이나 환차익을 제공해야 한다.

지금까지 저금리가 유지될수 있었던 것도 주가시세차익과 환차익이란 메리트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처럼 국내증시가 불안하고 환율마저 국제수지 관리차원에서 일정수준을 유지하려는 의도가 강한 상황에서는 국내금리를 올리는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을 무시하고 저금리를 고집할 경우 어느 순간에 부작용이 크게 나타날 우려가 있다는데 유념해야 한다.

전문위원 schan@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