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축구연맹 집행위원회가 2002년 월드컵 공동개최를 승인함에 따라
한국과 일본의 공동개최는 사실상 확정됐다.

그러나 이 공동개최안은 아벨란제가 밝힌대로 오는 12월까지 제반
실무적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FIFA사무국 요원들과 당사국인 한.일 양국관계자들로 구성될
실무위원회는 공동개최가 성공적으로 수행될수 있도록 <>정관개정
<>경제.정치적 파급효과 등과 관련, 모든 방안을 짜내야 한다.

기술적 절차적 문제뿐 아니라 양국의 특수관계에서 비롯되는
국민감정까지도 해결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공동개최의 첫째 과제는 경기배분이다.

2002년 월드컵에서는 모두 64경기가 치러진다.

양국이 산술적으로 32경기씩 원만히 치르고, 개.폐회식을 나눠 연다고
해도 결승전은 어디에서 치를지가 문제가 된다.

공동개최를 혹평하는 인사들은 ''전반전은 서울에서, 후반전은 도쿄에서
치를텐가''고 비꼰다.

개최국에 주어지는 1장의 본선진출권 처리문제도 있다.

두 나라 모두에 본선진출권을 주면 되지않느냐고 할지 모르지만
이를 이해서는 아시아권의 다른 나라가 희생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뒷받침돼야 한다.

공동개최는 또 양국의 개최후보 도시(지방자치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특히 일본은 2002년 월드컵 유치를 위해 여러지자체에서 기금을
거둬들였는데 월드컵을 한국과 공동개최하게 됨으로써 몇몇 지자체에서는
경기가 열리지 않을수도 있기 때문이다.

돈만 내고 경기는 안열리니 어느 지자체인들 공동개최를 환영하겠는가.

일본 기업들도 공동개최를 반대하기는 마찬가지다.

''돈 잔치''로 생각하는 일본과 일본기업들은 자신들의 몫이 반분되는 것에
대해 달가워하지 않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 일부 일본언론에서는 ''공동개최가 되면 일본은 아예
개최권을 포기할지도 모른다''는 전망도 하고 있다.

한국도 일본과 미슷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유치를 희망한 16개도시중 절반가량은 탈락해야 하는 까닭이다.

대회운영면에서도 많은 문제가 노정될 가능성이 있다.

대회조직위원회가 어디에 있어야 할 것인가와 어디에 있든간에 대회는
2원화될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또 양국의 경제력 물가수준차이로 인한 입장권가격 산정, 수익배분등도
장애물로 봐야한다.

한일 공동개최는 또 양국관계의 특수성으로 인한 불협화음도 우려된다.

양국민의 감정이 미묘하게 얽혀있어 사소한 일에도 필요이상의 반응을
보일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은 원활한 대회진행을 막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월드컵 72년 역사상 초유의 두나라 공동개최는 이렇듯 단독개최때보다
훨씬 복잡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일 양국의 슬기가 그 어느 사안에서보다 필요한 때이다.

<김경수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