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뭔가가 일어날 수 있다”고 22일(현지시간)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열린 지지자집회에 참석해 “그(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가 우리를 존중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나는 존중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아닐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긍정적인 무엇인가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지난 15일 당분간 미국 태도를 지켜보겠다며 종전의 미국령 괌 포위사격 협박에서 한발 물러서자 자신의 트위터에 “매우 현명하고 상당히 합리적인 결정을 했다”고 평가했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도 22일(현지시간) 국무부 청사에서 아프가니스탄 전쟁 관련 브리핑을 앞두고 자청해서 “북한 정권이 과거와는 달리 어느 정도 수준의 자제를 분명히 보여준 데 대해 만족한다”고 말했다.

그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만장일치로 대북 제재안을 채택한 이후 북한의 미사일 발사나 도발 행위가 없었다는 점을 주목하고, 인정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틸러슨 장관은 “이것이 우리가 고대해온 신호, 즉 북한이 긴장 수위와 도발 행동을 억제할 준비가 돼 있는지, 가까운 장래 언젠가 대화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시작이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미국 수뇌부의 유화적 발언은 미 국무부가 지난 16일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3대 조건을 제시한 뒤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당시 내건 전제조건은 북한의 핵실험 중단, 미사일 시험 발사 중단, 지역 안정을 해치는 도발적 언행 중단이다. 이런 점에서 미국이 강온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잇따라 시험 발사하자 ‘화염과 분노’ ‘군사적 옵션 장착 완료’라며 강공 대응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틸러슨 국무장관의 발언에 앞서 미 재무부는 북한의 핵개발 프로그램에 도움을 줬다며 중국 러시아 싱가포르 나미비아의 기관 10곳과 중국 러시아 북한의 개인 6명을 독자 제재 대상에 올렸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강력 반발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브리핑에서 미국의 이번 대북 추가제재를 거론하면서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틀을 벗어난 일방적인 제재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 측의 행동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되고, 미·중 양국이 유관 문제에 대해 상호 협력하는 데도 도움이 안 된다”며 “우리는 미국 측이 즉각 잘못된 행동을 중단하길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박수진 특파원/김동윤 기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