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달리는 귀를 즐겁게 하다
자동차가 단순한 운송 수단이 아니라 복합 문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감성 만족을 위해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을 찾는 운전자도 늘어나고 있다. 자율주행기술 등 자동차의 안전·편의 기술들이 점차 발전하면서 운전자가 이동하면서 부가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짐에 따라 좋은 소리를 찾는 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전 세계 차량용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시장은 2015년 10억달러 규모로, 2021년까지 연평균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을 일반 사운드 시스템과 나누는 엄격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다. 대개는 스피커 개수 및 성능, 앰프의 성능 등에 따라 구분한다.

일반 사운드 시스템은 차급에 따라 4~6개의 스피커로 구성된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은 적어도 8개 스피커가 장착되며 20개가 넘는 차량도 있다. 스피커 개수가 많아질수록 더 풍성하면서도 세밀하게 구분된 음향을 낸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사람은 보통 20㎐에서 20㎑까지의 대역을 들을 수 있는데, 모든 대역의 소리가 한 스피커에서 나오면 귀가 듣는 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프리미엄사운드 시스템은 저음, 중음, 고음은 물론 중고음, 중저음 등 소리의 대역을 세분화해 트위터, 서브 우퍼 등 전용 스피커로 내보내 더욱 풍부하고 정확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다.

홈 오디오와 달리 설치 공간에 제약이 많은 자동차는 크기가 작으면서도 풍성한 소리를 내는 스피커를 성능이 좋다고 평가하곤 한다.

스피커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인 코일, 그리고 진동판으로 구성된다. 음원으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은 앰프가 그 신호를 증폭시켜 코일로 전달하면 코일은 그 신호에 따라 고정돼 있는 영구자석을 밀었다 당겼다 하게 되고, 이에 진동판이 함께 흔들리면서 소리를 내는 구조다.

차량용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은 진동판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 더 큰 소리를 내기 위해 자력이 높은 영구자석을 사용하거나, 최적화된 재질의 진동판을 활용해 소리를 전달하는 효율을 높이고 있다.

자동차용 사운드 시스템은 홈 오디오 시스템에 비해 설계 난이도가 높다. 집에 비해 차는 환경 변화가 심한 데다, 진동 및 외부 소음 등 극한 환경 속에서도 성능에 문제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청취자를 중심으로 스피커를 움직일 수 있는 홈 오디오와 달리 차량용은 스피커가 고정돼 있고 소리가 차량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이리저리 난반사되기 때문에 좋은 소리를 얻기가 까다롭다. 이 때문에 차량용 사운드 시스템은 각각의 차량 인테리어에 맞게 디자인되며, 튜닝 작업도 거치게 된다.

이렇게 까다로운 조건 때문에 차량용 프리미엄 사운드 시장은 소수의 업체가 과점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1990년대 후반부터 차의 특성과 실도로 주행 상황 등에 최적화한 오디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국내 최대 규모의 사운드 전용 시험실을 갖추고 기술 노하우를 축적했다.

2006년부터 ‘드라이빙 콘서트홀’을 콘셉트로 차량용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개발에 들어가 2008년부터 그랜저와 쏘나타, K7 등 현대·기아차 차량에 적용하는 등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