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을 특검에서 넘겨 받은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기업인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SK그룹 고위 임원 3명이 어제 첫 번째로 검찰에 불려나갔다. 롯데와 CJ가 다음 차례로 거론된다고 한다. 문화·스포츠 융성 정부사업에 돈을 지원하고 그 대가로 면세점 사업권, 총수 사면 등의 부당이익을 취했는지가 쟁점이라고 한다.

한국 대표 기업인들은 이로써 최근 넉 달 동안 네 번이나 불려나가게 됐다. 작년 11월 검찰 소환이 시작이었다. 올 1월에는 특검과 국회청문회에 나란히 출두해 질타를 받았다. 물론 역사적인 사건인 만큼 진실을 밝히는 데 한 치의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사건은 하나인데 시도 때도 없이 불러대는 행태는 분명 비정상적이다. 검찰도 할 말은 있을 것이다. ‘강요 피해자’로 자신들이 결론 내린 기업인을 특검이 ‘뇌물 피의자’로 기소하는 바람에 추가소환의 필요성이 생기긴 했다. 그렇다고 무한경쟁의 글로벌 시대에 석 달 넘게 출국 금지로 발을 묶고 수시로 오라가라 하는 수사가 합리화될 수는 없다.

제각각인 헌재 특검 검찰의 사건 판단이 혼선의 배경이다. 동일 사안을 두고 특검은 뇌물죄, 검찰은 강요죄라는 상이한 결론을 도출해 사태를 꼬이게 했다. 헌재는 청와대의 기업압박에 대해 검찰과 비슷한 판단을 내렸다고 하지만 논란은 여전하다. 사건 발생 5개월이 넘었지만 사실관계 검증도 부실하다. 롯데가 체육센터 건립자금으로 냈다가 돌려받은 70억원의 성격에 대한 공방이 대표적이다. 부지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건립계획이 무산됐다는 게 관계자들의 일치된 진술이지만 이유 없이 또 불려다닐 판이다.

대통령 파면이 1주일을 맞고 있지만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부터 “진실은 반드시 밝혀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특검 수사와 헌재 심판이 법 상식을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측면이 있어서일 것이다. 검찰은 혼선을 마무리할 책임을 떠안게 됐다. 오직 진실에만 복무하겠다는 검찰이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