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선산업 재편의 밑그림으로 삼겠다는 맥킨지의 컨설팅 보고서 발표가 임박했다고 한다. 하지만 결론은 제대로 된 구조개혁과는 거리가 먼 ‘조선 3사 체제 유지’로 가닥을 잡아간다는 보도다(한경 8월22일자 A1, 10면 참조).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맥킨지가 “빅3 체제를 유지하겠다”는 지난 4월 정부의 발표를 그대로 반영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만약 그렇다면 정부는 컨설팅을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면죄부용으로 이용했다는 비판을 피해가기 어렵다.

물론 맥킨지로서는 컨설팅을 의뢰한 조선해양플랜트협회나 주무부처의 의도를 완전히 무시하기 어려웠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 같은 결론은 맥킨지가 조선 3사 최고경영자에게 보고한 중간결과에서 한국 조산산업의 전망을 비관적으로 봤다는 점에 비춰보면 이해하기 어렵다. 맥킨지는 세계 선박 발주량이 애초 전망보다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 2020년까지 조선 빅3의 생산량을 지금보다 50%가량 줄일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8년까지 조선 3사의 생산설비를 20%, 인력을 30% 각각 줄여야 한다고 했던 정부보다 상황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맥킨지가 정작 그 해결책으로 제시한 건 빅3가 나란히 공급량을 줄이는 방안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대우조선이 요구해오던 바다. 맥킨지는 수주잔량 등 일부 평가항목에서 대우조선이 나머지 빅2보다 낫다고 판단했다지만, 대우조선이 그동안 공기업의 이점을 십분 누려왔다는 점 등이 감안됐는지 의문이다. 인수합병 등 더 근본적인 조선산업 구조개편이라는 기대와는 동떨어진 처방이다.

맥킨지가 이런 내용의 최종 보고서를 낸다면 남은 건 정부의 대응뿐이다. 하지만 정부가 최종보고서를 토대로 조선 3사 간 사업재편 밑그림을 그리겠다고 공언한 터여서 결론이 달라질 것 같지 않다. 지난 4월 정부가 조선산업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한 이후 ‘골든타임’만 놓치게 된 꼴이다. 이런 식으로 가다가 조선산업 구조조정이 물거품으로 끝나는 건 아닌지 그게 걱정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