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A농가→B도축장→C도매상→D마트


최근 먹거리에 대한 불안이 높아지면서 식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식품 이력추적제가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식품 이력추적제란 생산.가공.유통.판매까지 전 과정을 기록한 바코드나 전자태그를 식품에 붙여,유해물질이나 질병 발견시 경로를 파악해 제품을 즉각 회수할 수 있는 장치다.

◆수산물에서 한우까지


농림수산식품부는 오는 8월4일부터 모든 수산물에 생산정보를 부착하는 이력추적 시스템을 시행한다.

또 2006년부터 도입한 농산물 이력추적제를 현행 100개 품목에서 장기적으로 400여개 품목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12월22일부터는 모든 한우에 대해 이력추적제를 시행한다.

소의 출생부터 매매.가공.판매 등 15가지 정보를 등록하고,12자리 식별번호를 부여한 인식표를 소의 양쪽 귀에 달도록 했다.

소비자들이 인터넷(www.mtrace.go.kr)에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소와 쇠고기의 이력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 인식표가 없는 소는 도축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통.식품업체들 적극적

강제 규정인 한우와 달리 농수산물과 가공식품에는 이력추적제가 임의 규정이어서 희망 업체만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올 들어 식품 관련 사고가 잇따르면서 이를 도입하는 업체들이 급속히 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달부터 굴비의 생산어장,유통 과정을 바코드로 기록한 '굴비 이력제'를 도입했다.

바코드를 대면 생산자 이름,생산일 및 출고일,위생검사 여부,가공업체 연락처 등이 일목요연하게 뜬다.그 덕에 지난달 굴비 매출은 1년 전보다 37% 늘었다.롯데는 연말까지 전 점포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마트는 지난 4월부터 전 점포에서 채소,생선 등 500여개 신선식품 포장에 성분.생산농가명 등을 기재한 품질실명제를 시행하고 있다.

농협중앙회는 2006년 말부터 배추,오이 등 64개 품목을 대상으로 우수농산물(GAP) 인증 제도를 시행 중이다.

식품업체들도 본격적인 이력추적제의 전 단계로 생산이력제를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농심은 라면 공장에 스프 재료의 원료.공정.생산 정보를 기록한 전자태그(RFID) 기반의 이력추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데 이어 하반기에는 스낵,음료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풀무원은 최근 두부,콩나물 등 15개 제품에 산지.수매일자 등을 기록한 '생산이력정보 제도'를 도입했다.

◆안전성 담보가 숙제

식품 이력추적제를 시행하더라도 현재로서는 안전성까지 보장하기는 어렵다.

생산 단계의 이력추적은 가능하지만 복잡한 유통 단계를 일일이 추적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쇠고기는 유통 과정에서 원산지 둔갑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

농식품부가 국내산 쇠고기 출하량의 1%를 사후 검사한다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위반시 처벌 수위(500만원 이하 과태료)도 미흡하다.

중소 유통업체들의 참여율이 저조한 점도 문제다.

실시간 이력추적에 사용하는 전자태그 설치 비용(개당 150원) 부담이 버겁기 때문이다.

유재혁/장성호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