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KO기업·은행 “한시름 덜었다”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손실 만회

‘키코(KIKO) 통화파생상품’에 물린 기업들은 원 · 달러 환율이 1230~1240원대로 하락한 덕택에 손실 규모를 줄여가고 있다. 계약 당시 원 · 달러 환율이 950원 안팎인 경우가 많았던 만큼 여전히 막대한 손실을 기록하고 있긴 하지만 달러당 1500원을 넘어섰을 때에 비해선 그 규모가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키코계약은 지난해 12월 말 현재 계약업체 318개사,계약잔액 37억달러가 남은 상태다. 피해 규모는 실현손실과 평가손실을 더해 3조259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8월 말 517개사,79억달러에 비해선 상당히 줄어든 수치다.

은행들도 한시름을 놓고 있다. 태산LCD와의 키코 거래로 막대한 충당금을 쌓으면서 지난 1분기에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던 하나은행의 경우 지금 환율이 유지될 경우 충당금 가운데 2000억원가량을 이익금으로 환입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1분기 말 현재 환율이 작년 말 환율보다 달러당 100원 이상 높아지면서 1분기 결산 때 약 2000억원을 추가로 충당금으로 적립했었다”며 “지금 환율이 작년 말 환율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므로 이대로라면 추가 충당금을 모두 환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은행권 일각에서는 키코 거래 손실을 현 수준에서 확정짓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부행장은 “지금 환율 수준이라면 바닥은 아닐지 몰라도 최소한 무릎 정도는 되는 것 아니냐”며 “만기가 아직 돌아오지 않은 계약에 대해 조기 결제를 해버리는 방안을 고민해야 하고 실제로 그런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시중은행 부행장은 “만약 환율이 추가로 하락한다면 그 후과를 어떻게 감당하겠느냐”며 은행이 주도적으로 나서서 조기 결제를 권유하기는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 ☞ 기사원문보기

책 제목 : 핵심에 집중하라
저자 : 크리스 주크. 제임스 앨런

핵심 사업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다음의 5가지 자산이 있는 지 확인하라.

1) 잠재적으로 가장 수익성이 높은 단골 고객
2) 가장 차별화되고 전략적인 능력
3) 가장 결정적인 제품 매출
4) 가장 중요한 유통경로
5) 위 항목에 도움이 되는 기타 전략적 자산(특허, 브랜드 네임, 네트워크내 조절점에서의 위치등)

——————

IMF가 발생한 바록 직후의 일이다. 지금은 너무 오래되서 이름도 잊어버린 중남미의 어느 회사로부터 철강제품에 대한 견적을 요청받았다. 당시 내가 냈던 견적서의 기준 환율은 1500원정도. 달러당 환율이 700-800원에서 맴돌다가 갑자기 미친 듯이 올라가기 시작할 때 쯤이었다. 사실 그 때의 관점에서 보면 1500원 정도면 너무 낮게 잡았다고 할 정도로 보수적으로 잡았다고 생각했다. 당시 금액으로 20만불정도 되는 금액이었다. 수출보험공사를 통하여 환위험 보험을 들수도 있었지만, 누구나가 그렇듯이 선적시점에는 1500원 훨씬 이상이 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에 보험을 들지 않았었다. 선적기한은 2달 반. 하지만 막상 선적할 시점이 다가오자 환율은 1300원으로 떨어졌다. 결국 손해를 보지는 않았지만, 마진은 모두 까먹은 상태가 되었다. 애는 애대로 먹고 손에 쥔 것은 무일푼.

어쩌면 그 당시로 다시 돌아간다고 하여도 더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있다고는 장담하지 못하지만, 최소한 환율로 인하여 나에게 기회가 생길 것이라는 기대는 덜 할 것이다. 요즘도 주변사람들에게 말한다. 환율은 기회가 아니라 위험이라고. 기회는 제품이나 아이디어에서 나오는 것이지 환율에 기대하지 말라고 한다. 날씨와 주가를 예측하기 어렵듯이 환율 또한 예측하기 어렵다. 그 말은 환율에 기대어서는 사업을 발전성은 물론이고, 안전성도 담보할 수없다는 것이다. 아마도 KIKO에 당한 많은 기업들은 ‘추세에 근거한 자신감과 은행의 설득’을 믿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들의 행운의 여신이 자신의 옆에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KIKO에 당한 회사들의 면면을 보면 그럴 수있다는 생각도 든다. 환헤징을 할 수있을 정도의 규모라면 일단은 구멍가게 수준을 벗어났을 정도는 되었고, 나름대로의 노하우도 있다고 자신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회사들은 기본적으로 ‘제조업체’들이지 ‘금융업체’가 아니다. 금융업종을 제외한 산업을 보통 ‘실물경제’라고 한다. 이는 눈에 보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하여 부가가치를 만들어가는 산업이다. 이에 반하여 금융업을 보고 실물경제라고 하지 않는다. 100원의 예금을 바탕으로 1,000원의 대출을 만들어 내는 ‘레버리지’와 같은 허수가 많이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주 업종이 아니고, 잘 알지도 못하는 제조업체들이 금융을 통하여 기회를 노린 것이 잘못이다. 나도 겪어 보았지만 실물경제에 속하는 사람들에게 ‘금융’은 본질적으로 ‘위험’이지 ‘기회’가 아니다. 어느 모로 보나 위의 5가지 핵심사업의 정의에서 일치하는 항목이 하나도 없다. ‘위험’은 최소화하고, ‘기회’는 극대화하라고 했다. 위험은 내가 알지 못하는 것이고, 기회는 내가 아는 것이다. 제조업은 기회는 제품에서 나오는 것이지, 허수에서 나오지 않는다. 앞으로 어떻게 세상이 바뀔지는 아무도 모른다.

현재까지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가든, 앞으로의 기대이익을 최대화하든, 그 것은 기업의 경영방침에 달려있다.

만일 내가 KIKO피해업체의 경영자라면 환율에 의한 손해는 지금으로 확정짓고, 제품을 통하여 기대이익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