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사춘기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신호 중 하나는 ‘방문 걸어 잠그기’이다. 닫힌 방문 앞에서 부모는 당혹스럽기만 하다. 아이가 혼자 방에서 뭐하는지 궁금해 죽을 지경이다. 아이가 방문을 잠그고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은 부모에게서 의존하던 단계에서 벗어나 홀로 서기를 하겠다는 신호이다.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문화 심리학자 김정운은 <바닷가 작업실에는 전혀 다른 시간이 흐른다>에서 슈필 라움(Spielraum)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슈필라움의 우리말 번역은 ‘주제적 공간’이다. 독일어 ‘놀이(Spiel)’와 ‘공간(Raum)’ 이 결합되어 생긴 단어로 놀이 공간, 나아가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자율의 공간’을 뜻한다. ‘삶이란 지극히 구체적인 공간 경험의 앙상블’이라고 정의 내린 뒤 ‘공간이 문화’이고 ‘공간이 기억‘이며 ’ 공간이야말로 내 아이덴티티‘라고 못을 박았다. 공간이 있어야 자기 ‘이야기’가 생긴다. ‘자기 이야기’가 있어야 자존감이 생기고 봐줄 만한 매력도 생긴다는 것이다. 나아가 한 인간의 품격은 자기 공간이 있어야 유지된다고 했다. 아이가 사춘기가 되면 자기 방을 고집하고 문을 잠그기 시작하는 것은 주체적 개인으로, 한 사람의 온전한 인격체로 인정해 달라는 인정투쟁의 다름 아니다.
[내 아이 사춘기 솔루션] 방문을 걸어 잠그는 아이들
사춘기가 되어 아이가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유 중 하나는 어렸을 때부터 부모가 아이의 자율성을 존중해주지 않고 침범한 경우이다. 세상에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하나도 없다는 생각에 사로잡힌 아이는 공격적인 행동이나 반항적인 태도로 분노를 발산하려고 한다. 아이가 반항하고 화를 내면 부모는 행동을 고쳐주는 데만 급급해 야단을 치고 과도하게 간섭하면서 가르치려 한다. 하지만 부모가 이렇게 대응할 경우 아이 마음속에는 자신이 못난 존재라는 생각이 들어서게 되고 정작 부모가 원하는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마음속 분노만 점점 커진다. 아이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을 주는 것이 어떤 충고보다 더 필요할 때가 있다.굳게 닫힌 방문을 보며 부모는 소설을 쓰고 상상의 나래를 펼친다. ‘저 안에서 도대체 무슨 짓을 하는 거지?’ ‘이 녀석이 반항하네!’ 결국은 참지 못하고 거칠게 방문을 두드리며 고함친다. 아이에게 사생활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의 행동이다. 하지만 아이도 엄연히 한 사람의 고유한 인격체로 존중 받아 마땅한 존재다. 부모가 지나치게 사생활을 침해할 경우 상처 받고 괴로워한다. 방문만 잠그는 게 아니라 마음의 문도 꽁꽁 닫아걸게 된다.

사춘기의 발달과업인 정체감 형성을 위해서는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 단순히 방문을 닫았다는 이유만으로 아이 마음속 폭풍은 짐작도 하지 못한 채 나쁜 짓을 하는지 여부에만 촉각을 곤두세운다면 부모와 자녀 사이의 거리는 가늠할 수 없는 은하수처럼 점점 더 멀어질 것이다.

방 하나도 제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아이들이 주도성을 가지고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어 가는 모습을 상상하기는 어렵다. 미래를 설계하고 주체적인 삶을 사는 대신 정체감 혼란으로 끊임없이 자신을 의심하며 살지 모른다.
[내 아이 사춘기 솔루션] 방문을 걸어 잠그는 아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