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의 1일 긴급 모니터링
=장기화하면 제조업까지 피해 예상

화물연대 파업으로 부산지역 기업의 피해도 불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건설·레미콘 업종에서 직접적인 피해 사례가 나오는 가운데 파업이 장기화하면 제조업에도 파업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상의는 1일 화물연대 파업 모니터링 결과 레미콘 업계에 직접적인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고 발표했다. 부산상의 제공
부산상의는 1일 화물연대 파업 모니터링 결과 레미콘 업계에 직접적인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고 발표했다. 부산상의 제공
부산상공회의소는 1일 화물연대 2차 파업에 따른 지역 경제계 파급 영향 긴급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역 수출입 제조기업과 건설업, 운수업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모니터링 결과 철강과 건설, 레미콘 업종에서 제품 출하가 전면 중단되거나 공사 현장이 중단되는 등의 피해가 나타났다.

레미콘 제조업체 A사는 주원료인 시멘트 공급 차질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재고가 소진돼 공장 가동 중단을 앞두고 있다. B사는 레미콘 건설 자재 공급 중단으로 말미암아 공사 현장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철강업체 C사는 지난주부터 물류가 전면 중단됐으며, 제품 보관 장소가 없어 생산이 이미 중단됐다. 원자재 반입은 문제가 없지만, 철근 출하를 위한 화물차량 수배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품의 크기가 작은 편에 속하는 조립금속과 정밀기계, 섬유 등의 업종은 파업의 영향을 덜 받았다. 하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물류에 차질이 생겨 납기일 준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의 강경 대응에 대해서도 개별 기업의 상황에 따라 온도의 차이가 있었다. 대다수 기업은 정부의 강경 대응이 파업사태의 장기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협상에 나서서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해주기를 원했다.

면 이미 생산 차질이 본격화된 기업들의 경우에는 업무복귀명령 등 강경책을 써서라도 조속하게 물류 정상화를 끌어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파업 초기에는 업종 및 생산 제품에 따라 각 기업이 체감하는 피해 상황이 다를 수 있지만, 파업사태가 길어지면 전 업종에 막대한 피해가 누적된다"며 "특히 수출제조기업 비중이 높은 부산의 경우 수출 납기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할 경우 어렵게 확보한 해외거래처를 놓칠 수도 있는 만큼 정부와 화물연대 양측의 대승적인 타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부산=민건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