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내시경 넣어 탈출한 디스크만 제거…상처·통증 최소화"
현대인이라면 한 번쯤 겪는 질환이 디스크와 척추질환이다. 성인 3명 중 2명이 평생 한 번 경험할 만큼 이제 흔한 질환이 됐다. 구부정한 자세와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 운동 부족 등 잘못된 생활습관 때문이다. 특히 허리와 목 부분에 오는 경우가 많다. 초기라면 약물이나 물리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지만,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시술이나 수술을 해야 한다. 하지만 수술을 하면 흉터가 크게 남는다.

이준호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국내 척추외과 분야의 명의로 꼽힌다. 특히 미세침습적 시술 분야의 권위자로 통한다. 이 교수의 경피적 내시경 목·허리 추간판 부분 제거술은 국내 최고 수준으로 불린다.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척추전문병원에서 다양한 임상 경험을 쌓았으며 국내외 학회에서 고난도 환자 사례를 발표하는 등 이 분야를 선도해 왔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디스크는 어떤 병인가.

“정확한 명칭은 추간판 탈출증이다. 돌출돼 나온 수핵에 의해 신경근이 압박돼 심한 하지 방사통 및 더 나아가 마비 증상을 만드는 상태다. 하지만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받은 사람 중 대다수는 디스크 내장증 혹은 신경근 압박이 심하지 않은 정도의 돌출 상태를 일컫는 추간판 팽윤증이다. 이런 상태로 지속되다가 부적절한 허리 관리로 바깥 섬유테에 파열이 와서 내부 수핵이 돌출되기 시작하면 디스크의 시작이다.

▷디스크를 알리는 전조 증상으로는 어떤 게 있나.

“보통 주기적으로 허리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줄곧 허리만 아파오다가 어느 순간 허리 통증은 사라졌지만 한쪽 다리로 전깃줄 같이 느껴지는 찌릿한 저린감, 이른바 방사통이 지속되기도 한다. 이는 허리병이 좋아진 게 아니라 진짜로 디스크가 생겨 심각해진 것으로 의심할 필요가 있다.”

▷경피적 내시경 시술로 디스크를 치료할 수 있나.

“미세침습적 치료의 하나인 경피적 내시경 시술은 작은 부위를 절개한 뒤 척추 내시경을 넣어 탈출한 디스크만 제거하는 방법이다. 최첨단 장비의 고화질 영상이 정확한 병변 부위를 찾기 때문에 안전하고 정확하다. 1㎝ 미만 최소한의 상처로 기존 수술법과 대등한 치료 효과를 낸다. 뼈나 근육을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시술 후 통증이 적다. 회복기간도 일반 디스크 수술에 비해 매우 짧다.”

▷그동안 척추 미세침습 수술을 얼마나 시행했나.

“요추부(허리)와 경추부(목) 등을 모두 합해 여태까지 경피적 내시경 추간판 제거술을 1000여 건 이상 시행했다. 수술 소요 시간은 1시간가량이다. 대학병원 등은 2박3일 입원을 권하지만 전문병원에선 당일 퇴원도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젊은 환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척추 분야에서도 미세침습 수술이 최근 어느 나라나 각광받고 있다.”

▷디스크의 유병률이 점점 높아지는 것 같다.

“30대가 되면 허리 한두 마디는 자연스럽게 퇴행이 발생한다. 하지만 대다수가 느끼지 못하다가 무리하거나 사소한 외상으로 인해 자각증상이 생겨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디스크가 있다고 무조건 수술하다가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클 수도 있다.”

▷디스크 수술 후 재발할 확률은 얼마나 되나.

“외국 논문에 따르면 재발률은 2년 기준 8~9% 내외다. 재수술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질환이다. 재수술 시 신경근 손상이나 뇌척수액 누수, 수술부위 감염 등의 확률이 높아진다. 또 추간판 제거술을 재차 진행하게 되면 향후 추간판 간격이 낮아지는 협착증 현상 등이 가속화할 우려도 있다. 수술로 신경관이 넓혀졌기 때문에 신경 차단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유튜브 등에는 각종 예방법이 난무한다.

“디스크 증상을 겪는 환자들은 덜컥 겁이 난 나머지 각종 치료를 중복해서 받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의료진은 어떤 치료법이 환자에게 잘 맞는지를 확인하고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 척추질환은 워낙 오래된 질환이다 보니 정립된 치료법이 많다.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이 있을 확률이 높다는 얘기다. 지속적으로 꾸준히 치료받는 게 중요하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