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연간 경제성장 1.2%로 하향…작년 6.1%서 급전직하 우려
'전면적 샤오캉 완성' 축포 쏘려던 시진핑, 심각한 도전 직면
실업률 급등·폐업 속출로 민생 위기…대규모 부양책 예고
중국, 코로나19에 문화대혁명 후 첫 '마이너스 성장' 위기감
문화대혁명이 끝난 1976년 이후 처음으로 중국의 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인가.

오는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에 중국 안팎의 시선이 쏠린다.

덩샤오핑(鄧小平·1904∼1997) 시절인 1978년 중국공산당이 개혁개방 노선을 채택하고 '계급 투쟁' 대신 '생산력 해방'을 최우선 과제로 앞세우고 나서 고성장을 이어온 중국이 처음으로 분기 경제성장률 마이너스를 기록할 확률이 매우 높게 점쳐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세계 경제가 대공황 이후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울한 관측 속에서 세계사적으로 드문 고속 성장을 이어온 중국 역시 크게 휘청거리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4일(현지시간) 세계 경제 전망보고서에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2%로 하향 조정했다.

작년 중국 경제성장률은 6.1%였다.

5%포인트에 육박하는 큰 낙차의 추락이 예견되는 상황이다.

IMF는 지난 1월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6.0%로 내다봤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판단의 근거가 모두 흔들리면서 전망이 뒤바뀌었다.

가뜩이나 중국 경제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미중 1단계 무역 합의 타결로 겨우 숨통을 돌릴만한가 싶었는데 곧바로 코로나19라는 '검은 백조'(Black swan·예측 불가 돌발 위험)가 출현한 것이다.

1%대 경제성장률은 개혁개방 이후 40년 넘게 고성장을 거듭하던 중국이 한동안 경험해보지 못한 수준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이 마이너스 경제 성장을 기록한 해는 마오쩌둥(毛澤東) 전 주석이 사망하고 문화대혁명이 종식된 1976년이 마지막이다.

이후 연간 경제성장률이 가장 낮았던 때는 톈안먼(天安門) 시위 유혈 진압 사태의 여파로 중국 경제에 큰 충격이 가해진 1990년의 3.9%였다.

1978년 개혁개방 노선을 채택 이후 중국 경제는 장기간 고도성장을 구가했다.

1984년에는 가장 높은 15.2%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기도 했다.

다만 이후에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서서히 낮아지면서 '신창타이'(新常態·뉴노멀)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2010년 마지막으로 두 자릿수인 10.6%를 기록한 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한 자릿수로 내려왔다.

2012년에는 7.9%를 기록해 '8% 지키기'(保八) 벽이 깨졌다.

2015년에는 다시 6.9%로 '7% 지키기'(保七) 시대가 저물었다.

이어 작년엔 6.1%까지 내려왔다.

우한(武漢)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발원지인 중국에 먼저 심각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생채기를 남겼다.

1월 23일 인구 1천100만의 대도시인 우한을 전격적으로 봉쇄하는 등 중국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극단적인 인구 유동 정책을 폈다.

이런 이유로 1월 하순부터 2월까지 생산에서부터 소비에 이르는 전 영역에 걸쳐 중국 경제는 극도로 위축됐다.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를 비롯한 1∼2월 주요 경제 지표 결과에는 '사상 최악'이라는 수식어가 줄줄이 따라붙었다.

시장에서는 1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바클레이즈, 골드만삭스, UBS는 각각 1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15.0%, -9.0%, -5.0%로 내다봤다.

1분기 중국의 코로나19 사태가 가장 심각했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은 1분기 성장률 결과를 넘어 중국의 회복력에 모아지는 분위기다.

극단적 봉쇄 정책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데 어느 정도 성공한 중국은 조속한 경제 정상화를 밀어붙이고 있다.

대규모 인명 피해에 이어 경제마저 무너진다면 중국공산당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지도력이 심각히 도전받을 수 있다.

따라서 중국 당·정은 코로나19 피해를 최소화하고 '브이'(V)형 경기 반등을 이뤄내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대유행을 하면서 중국이 홀로 경기 반등을 이루기에는 상황이 여전히 엄혹하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국내의 코로나19 상황은 개선되고 있지만 더 많은 중국의 해외 시장이 멈춰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IMF에 앞서 많은 세계 금융기관이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1%대로 낮춘 상태다.

바클레이스와 노무라, UBS는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각각 1.3%, 1.3%, 1.5%로 제시한 바 있다.

이미 큰 경제 충격이 닥치면서 중국의 경제 주체들은 이미 큰 고통을 겪고 있다.

특히 고통은 기층 민중에게 집중되고 있다.

1∼2월 도시 실업률은 6.2%로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 통계 수치에는 가장 취약한 계층인 농촌 출신 도시 노동자인 농민공(農民工)의 실업 현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

중국 선전탄왕자산관리공사의 류천제(劉陳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마찰적 실업'으로 인해 정부의 공식 통계보다 실제 실업자가 훨씬 많다면서 실업자 수가 최고 2억500만명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기업 정보 플랫폼인 톈옌차(天眼査)에 따르면 1분기 46만개가 넘는 중국 회사들이 문을 닫았다.

중국공산당은 당초 올해 GDP를 2010년 GDP의 두 배로 늘림으로써 역사적인 대업인 '샤오캉(小康·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 건설 완수를 선언하려 했다.

이를 위해서 중국은 당초 올해 최소 5.6%가량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해야 했는데 현재 상황으로는 '희망 사항'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중국은 재정과 통화 정책을 아우르는 강력한 경기 부양책으로 위기 극복에 나서겠다는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중국공산당 정치국은 지난달 27일 회의에서 ▲ 재정 적자율 상향 ▲ 지방정부 특수목적채권 발행 규모 확대 ▲ 특별 국채 발행 등을 핵심으로 한 재정 정책 방향을 결정한 바 있다.

다만 구체적인 부양 규모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연례 회의가 열릴 때가 되어야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당초 3월 전인대 회의를 열고 경제성장률 목표와 예산 규모 등 올해 경제 청사진을 밝힐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사태로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중국은 4조 위안 규모의 초대형 부양책으로 위기 국면을 넘겼는데 중국에서는 글로벌 금융 위기보다 더 심각한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강도 높은 부양책이 동원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작지 않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