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미리 정규직 일자리를 확보한 뒤 청년들에게 직무교육을 해 취업시키는 ‘뉴딜일자리’ 사업을 시행한다. 직무경험자를 원하는 중소기업과 경험이 없는 구직자 간 ‘미스매칭’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겨우 두 달간 직무교육을 받은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중소기업이 거의 없어 현실을 외면한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서울시는 8일부터 20일까지 ‘민간기업 맞춤형 뉴딜일자리’ 사업 수행기관 20곳을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사업 수행기관은 회원사를 100개 이상 보유한 비영리·법인 단체다. 민간협회가 회원사 중에서 정규직 채용을 원하는 기업을 선정하고, 직무교육기관을 선별해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서울시가 이를 검토해 사업을 수행할 민간협회를 고르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청년 구직자를 모집해 2개월간의 직무경험을 제공하고 이후 인턴 매칭 행사를 열어 회원사와 교육수료자를 연결해준다. 청년참여자는 인턴근무 동안 시급 9220원의 서울형 생활임금을 받는다. 교육과정 운영비와 참여자 인건비, 기타 사업비는 서울시가 지원한다.

하지만 현장에선 이번 정책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서울시는 인턴근무를 할 경우 정규직 채용으로 이어지도록 할 방침이지만 기업은 정규직으로 채용할 의무가 없다. 수도권에 있는 정보기술(IT) 분야 중소기업 대표는 “협회에서 2개월 동안 직무교육을 받아도 어차피 직장에서 다시 교육해야 한다”며 “현장을 모르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지적했다. 구직자 황모씨(29)는 “인턴근무를 거쳐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채용되더라도 그곳에 얼마나 다닐지 의문이고, 이런 사실을 중소기업도 알고 있을 것”이라며 “중소기업 취직자의 처우를 개선하는 게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기존 뉴딜일자리 정책으로 취업한 구직자 비율이 53%에 이른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중 상당수가 비정규직으로 추정된다. 뉴딜일자리에 참여한 구직자들이 모인 오픈카톡방에선 “(뉴딜일자리를 제공하는) 일자리 포털에 들어가도 정규직 일자리는 없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