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대구시장 "사회적 경제 도시로 발돋움한 대구… 민간 역량이 축적된 덕분이죠"
“대구가 단기간에 전국 최고 사회적 경제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것은 민간 차원에서 사회적 경제 역량이 충분히 축적돼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난 4년간 다져온 사회적 경제 기반을 더 공고히 하고 사회적 경제기업의 자립 역량을 강화해 일자리 창출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습니다.”

권영진 대구시장(사진)은 오는 13일 개막하는 사회적경제통합박람회를 앞두고 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민선 7기에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회서비스 등 국가사업에 참여 가능한 맞춤형 기업을 적극 발굴해 사회적 경제의 꽃을 피우겠다”고 강조했다. 전략은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지역 중심 전문 인재 양성, 우수기업 육성, 사업개발비 확대를 통해 기업의 자립 역량을 꼽았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선거 캐치프레이즈로 ‘4차 산업혁명 선도도시’ 같은 거창한 구호가 아니라 ‘내 삶이 행복한 대구’를 내건 이유가 있습니까.

“4차 산업혁명 선도도시나 공간구조 혁신, 미래형 인프라 구축의 궁극적인 목적은 시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입니다. 지난 4년간은 오랫동안 대구가 침체한 원인인 산업구조를 개편하고 대구 혁신의 기틀을 다졌다면 이제는 시민의 척박한 삶을 바꾸는 생활혁신의 시기입니다. 시민들은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어렵다고들 얘기합니다. 시민의 척박한 삶을 바꿀 때 대구공동체와 대구시민의 자부심이 높아지고 경제 혁신도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대구에 사회적 기업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면서 전국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14년 취임 때부터 사회적 경제에 집중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국회의원 시절부터 관심이 많았습니다. 자본주의의 급속한 발전 이면에는 늘 그늘이 존재합니다. 사회적 경제는 자본주의의 그늘을 보완하는 중요한 개념이라는 것이 저의 기본철학입니다. 산업혁신을 통해 신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위한 것이죠. 하지만 공동체의 해체와 양극화, 취약계층의 일자리 문제는 기존 시장이 해결할 수 없습니다. 도시와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사회적 경제를 양대 축으로 키워야 합니다. 그래서 취임하면서 사회적경제과와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설치했습니다. 2014년 취임 이후 대구사회적경제 민관협의체를 출범시키고 사회적경제 5개년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해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구가 단기간에 전국 사회적 경제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것은 민간에 사회적 경제 역량이 충분히 축적돼 있었기 때문입니다.”

▷대구의 사회적 경제가 분명한 신념적 가치를 갖고 발전하고 있지만 사업 아이템과 규모의 한계도 지니고 있습니다. 민선 7기 사회적 경제 육성전략과 계획은 무엇인가요.

“사회적 경제는 시장경제에서 경쟁에만 맡겨두면 싹을 틔우기 어렵습니다. 공공 차원에서 마중물 역할이 필요합니다. 그동안 대구시와 시 산하기관 중심으로 우선구매 등으로 마중물을 부었다면 이제는 대구·경북의 모든 기관으로 확대돼야 합니다. 그러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궁극적으로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사회적 경제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런 단계로 발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시장은 이윤을 극대화하는 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윤만 추구하는 일반 기업이 할 수 없는 영역, 자본주의 경제의 실패가 나타나는 공백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는 오히려 사회적 경제기업이 더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요즘 화두인 4차 산업혁명이나 스마트시티 건설에도 사회적 경제가 역할을 할 수 있습니까.

“스마트시티들이 기술적인 관점에서만 접근하다 보니 시민 참여가 부족하고 삶의 문제와 결합이 안 돼 기술만 구현하고 사장된 사례가 너무 많습니다. 시민의 삶으로 연결될 때 스마트시티가 성공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도시가 됩니다. 스마트시티는 시민의 참여,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하게 결합돼야 합니다. 끊임없이 시민과 소통하는 진화된 스마트시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대구는 기술 구현에만 그치지 않고 10년을 내다보고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플랫폼이 제대로 갖춰지면 이 모델을 수출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시대는 상품만이 아니라 기술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시대입니다. 사회적 기업 중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바탕으로 시민사회와 결합하려는 기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나 도시재생, 공공서비스부문 등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3일 사회적경제통합박람회가 열립니다. 첫 통합박람회에 거는 기대가 클 것 같습니다.

“분산돼 있던 사회적 경제 활동이 이번 박람회를 통해 서로 협력하고 벤치마킹하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지역 단위에서 이뤄지던 사회적 경제가 국가 단위로 확대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합니다. 사회적 경제기업들이 지역을 넘어 컨소시엄을 형성하고 전국 단위 사업을 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는 촉매 역할을 했으면 합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