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 성인·청소년, 고소득가구 유아·아동 중독 비율 높아
고소득층 부채 규모 크지만 부채 상환부담은 저소득층이 커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발표


스마트폰 중독 위험이 있는 '과의존 위험군'이 4년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은 저소득 가구의 성인·청소년, 고소득 가구의 유아·아동에 상대적으로 집중됐다.

고소득층의 부채보유가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상환부담은 대출금리가 높은 저소득층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 스마트폰 사용 일상화로 과의존 우려 증가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을 보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2011년 8.4%에서 2015년 16.2%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금단과 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를 뜻한다.

성별 추이를 보면 2013년에는 남성 12.5%, 여성 11.2%였지만 2015년 남성 16.0%, 여성 16.5%로 여성의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더 빠른 속도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성인과 청소년은 200만원 미만 소득집단의 과의존 위험 비율이 높았으며 유아·아동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위험 비율이 높았다.

직업별로는 학생과 무직자의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2015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전년보다 상승한 가운데 농림어업 종사자는 유일하게 비율이 낮아졌다.

스마트폰 과의존의 어려움으로 청소년이 내성 현상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4시간 미만까지는 일반 사용자군의 사용 비율이 높고 그 이상은 과의존 위험군의 사용 비율이 높았다.

가상세계지향, 금단 등 스마트폰의 과다한 사용으로 어려움을 느낀 비율은 성인(65.1%), 청소년(60.8%), 유아·아동(44.1%) 순으로 컸다.

성인의 주중 5일 평균 여가시간은 1999년 314분에서 2014년 292분으로 줄었다.

반면 주말에는 유급노동 시간이 줄면서 여가시간과 개인유지를 위한 필수시간이 늘어났다.

적절한 여가시간을 확보하지 못한 주중 시간빈곤 인구 비율은 1999년 32.4%에서 2014년 36.1%로 3.7%포인트 증가했다.

취업자 집단으로 한정해 성별로 살펴보면 2014년 기준 여성은 53.5%, 남성은 45.2%가 시간빈곤을 겪었다.

기혼 취업자이면서 자녀를 둔 집단의 시간빈곤 비율은 남녀 모두 6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 공연을 최소한 한 번이라도 관람한 적이 있는 인구를 나타내는 문화예술 관람률은 63.9%로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하지만 영화관람률만 4.4%포인트 상승하고 다른 장르의 관람률은 상승 폭이 미미하거나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부채상환부담 2분위 소득층 최대

가계부채 규모는 2012년 말 963조원에서 지난 6월 기준 1천257조원으로 급증했다.

가계부채 증가율도 2012년 말 전년 대비 5.2%에서 지난 6월 기준 11.1%로 커지고 있다.

가구의 평균 금융 부채 규모는 소득이 높을수록 크며 특히 최고 소득층(5분위) 가구의 부채 규모가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다.

지난해 기준으로 5분위 가구의 71.3%가 가구 당 평균 9천850만원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 1분위 부채 보유 가구는 25.8%이었고 가구당 평균 부채 규모는 797만원이었다.

가계의 실질적인 부채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은 부채 규모가 작은 2분위 가구의 상환 부담이 가장 컸다.

이는 고소득층이 주로 이용하는 은행 대출금리가 저소득층이 많이 이용하는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금리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부채 규모는 40∼50대가 상대적으로 컸으며 부채 상환 부담 증가율은 고령층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고용 감소 등의 영향으로 1인 청년 가구의 경상소득 중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아지는 추세다.

1인 남성 청년 가구의 경상소득 대비 근로소득 비중은 2006년 87.3%에서 2015년 75.0%로 하락했지만 사업소득 비중은 같은 기간 6.8%에서 18.9%로 높아졌다.

노동시장 관련 조사에서는 사업체 규모에 따라 임금과 복지, 고용 안정성, 노동생산성, 영업이익률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임금은 300인 이상 사업체 임금의 39.3∼76.4%에 그쳤다.

사회보험가입률은 300인 이상 사업체의 경우 95.0%에 달했지만 1∼9인 사업체는 40.8%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roc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