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조' 꾸려 방역체계 취약점 발굴…지침·매뉴얼에 반영

질병관리본부가 더 탄탄한 방역망을 구축하기 위해 내부에 '공격조'를 꾸려 취약점을 찾아내는 '레드팀(Red Team)' 개념을 도입했다.

군사용어인 레드팀은 본래 팀인 '블루팀(Blue Team)'의 계획을 무산시키거나 공격하는 팀을 뜻한다.

기존 체계에 문제가 없는지 '아군'을 공격을 해서 보완점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레드팀은 조직의 잘못에 대한 축소, 구성원의 자발적인 침묵 등으로 인한 이른바 '집단 실패'에서 벗어나기 위해 기업체에서는 자주 도입되곤 하지만, 정부조직에서 시도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질본 관계자는 28일 "감염병 발생 상황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예측하고 방역망에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기 위해 '레드팀' 개념을 도입했다"며 "조직의 입장이 아닌 국민의 입장에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질본은 특정 이슈가 발생하면 해당 업무 담당자가 아닌 내부 직원으로 별도의 팀을 꾸려 방역망의 문제점을 공격하는 방식으로 레드팀을 운영한다.

레드팀 운영의 첫번째 사례는 지난달 13일 발생한 메르스 의심환자의 '무단이탈' 사건이다.

아랍에미리트(UAE) 국적의 여성 M(22)씨는 의심환자로 분류됐지만, 병원을 이탈해 방역망에 공백이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이 여성은 결국 메르스에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명이 났다.

질본은 보건소, 의료기관 등을 점검해 당시 방역망에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보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처음으로 레드팀을 가동했다.

레드팀을 꾸려 일반 국민, 언론, 당사자인 M씨의 입장에서 방역망의 문제점을 지적했고 기존의 방역라인은 '블루팀'이 돼서 공격을 방어했다.

질본의 박기수 위기소통담당관은 "방역망에 느슨한 연결고리가 있다면 이를 보완해 더 촘촘한 방역망을 만들기 위해 레드팀을 만들어 현재의 방역망을 점검하게 한 것"이라며 "레드팀의 공격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방역 지침이나 내부 매뉴얼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M씨가 병원에서 이탈했을 당시 안전관리원 1명이 자리를 비운 상황이 있었던 만큼, 메르스 의심 사례 발생 시 안전요원이 2인1조로 활동하게 하고 안전요원이 의심환자에게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관련 지침에 반영하거나 병원의 내부 규정에 넣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bk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