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외국인주민 100만명 시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90일 초과 체류 외국인, 대한민국 국적 취득자, 그리고 이들의 자녀들을 의미하는 외국인 주민이 2006년 첫 조사 이후 매년 증가하다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선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가 외국인과 함께 하는 공동체 사회 구축에 더욱 속도를 내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봐야 한다.

특히 주목해 볼 것은 갈수록 외국인 주민이 다양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외국인 주민 중 한국국적을 갖지 않은 사람들이 아직은 대다수이지만 한국국적 취득자가 6.7%에 달하고, 외국인 자녀들이 9.7%에 이른다는 것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한국국적을 갖지 않은 사람들의 분포에서도 근로자(52%)가 물론 많지만 결혼이민자(11.4%), 유학생(7%) 등도 적지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국적 또한 조선족이 대다수인 중국이 56.5%로 가장 많지만 동남아(21.2%) 미국(5.4%) 남부아시아(3.9%) 일본(2.4%) 대만 · 몽골(2.1%) 등으로 다변화되는 추세이다.

이는 우리 사회가 법, 제도적으로는 물론이고 교육 노동 등 여러 부문에 걸쳐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점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부가 외국인과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구축(構築)을 100대 국정과제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지만 외국인 주민의 숫적 증가뿐 아니라 갈수록 다양화되고 있는 분포에 맞춘 보다 적합한 시책들의 발굴이 절실하다.

그런 점에서 최근 귀화인이 공공기관 사장으로, 미국인 교수가 기상청의 1급인 기상선진화추진단장에 각각 임명되는 등의 변화는 바람직한 일이다. 우리는 이와 함께 다문화 가족에 대한 배려, 외국인 주민들의 불편없는 생활환경 조성 등에 보다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사실 정부가 강조하는 외국인투자도 인센티브보다 더 중요한 것이 문화적, 환경적 개방성이다. 글로벌화도 우리가 얼마나 개방된 다문화사회로 갈 수 있느냐에 달린 것이고 보면 이에 걸맞은 변화는 빠를수록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