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을 관측하는 지진관측실의 상당수가 암반구조가 아닌 토양위에 설치돼 있는 등 지진 관측환경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이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위 박진(한나라)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개 단주기 지진관측소 중 15곳의 지진계실이 마사토 등 토양위에 설치돼 있었다. 지진관측실은 진동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 암반구조 위에 설치하도록 권장하고있다. 특히 포항기상대의 경우 지진계실의 지질이 모래였으며 바다에서 불과 100m 떨어진 지역에 설치돼 있었다. 또 이들 17개 지진관측실은 대부분 도로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거나(진주, 원주,거창), 주택가나 시내에 위치하고 있어(안동, 울산, 전주) 심한 잡음에 시달리는 등정밀 관측에 지장을 받고 있었다. 박진 의원은 "한국의 지진 발생현황은 92년부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규모 5내외의 지진 발생 가능성이 계속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지진관측소의 관측환경이 열악, 지진 대비에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며 지적했다. 이와 함께 박 의원은 "비행기가 운항 중 강한 난류를 만날 경우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선 운항고도인 100∼250FL(Flight Level)에 대한 자세한 난류정보가 전무한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박의원은 "더구나 기상청이 보유하고 있는 비행장 저층난류측정장비의 경우 지난 88년 구입한 뒤 사용년수를 무려 4년이나 초과, 현재 무용지물로 방치되고 있다"며 "정확한 난류정보 확보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