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호 < 서울대 국제지역원 원장 > 한국이 동북아 비즈니스의 중심지가 되려면 외자 유치가 관건이다. 외국인투자를 유도하고 다국적기업의 지역본부를 끌어들이려면 우선 지역여건을 비용 차원에서 점검해야 한다. 땅값과 인건비, 각종 규제, 행정서비스, 국민의식 등이 경쟁 상대보다 뒤떨어진다면 외자 유치는 실패로 끝날 것이다. 전문가 팀을 구성해 보다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획일적인 '당근책'이 아니라 투자케이스별로 개별적인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 인천공항 주변의 시설 개발을 서둘러 바쁜 다국적 기업가들이 시내에 들어오지 않고도 비즈니스나 회의를 할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특히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정책 연계가 일관성있게 이뤄져야만 외국인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은 < 아주대 환경도시공학부 교수 > 송도 개발은 인천지역의 환경용량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 입지 선정 당시부터 환경문제로 논란이 있었던 인천 공항과 배후 지역, 환경단지가 들어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도권 매립지를 잘 관리해 누구나 찾고 싶은 친환경적인 지역으로 만드는 것도 신임 단체장의 몫이다. 강화 개펄을 포함하는 한강하구의 보전도 중요하다. 경기도의 경우 수도권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개발 수요를 적절히 받아들이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려면 수질과 대기 등 환경오염 전체에 대한 총량관리가 필요하다. 해제대상 개발제한구역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 계획 입안 단계에서부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제도를 경기도에서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는 방안도 검토돼야 한다. 전일수 < 인천대 무역학과 교수 > 우리나라가 동북아거점으로 발전하기 위한 개발전략을 생각할 때 수도권의 국제비즈니스 및 물류 기능을 강화하는 것에 가장 큰 우선수위를 부여할 수 있다. 그간 지역균형 발전이란 명분 아래 수도권지역에 대한 규제정책을 지난 6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로 인해 항만 등 물류 기반시설의 입지와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기관 증설도 규제받아 왔다. 앞으로도 이같은 수도권 입지 규제정책이 지속될 경우 수도권에 있는 대기업 공장들은 각종 규제에 얽매이기보다는 더욱 유리한 조건에서 기업 활동을 하기 위해 해외로 진출, 자본의 국외 유출을 초래할지 모른다. 신임 인천시장과 경기도지사는 정부와 함께 이제까지의 경직된 수도권 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발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