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평준화 정책에 따른 부작용과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교 선택권이나 학교 운영의 자율권 확대, 학교간 학력차 인정 등을 담은 `평준화 개선 종합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의 이주호 교수는 15일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고교 평준화 정책 개선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 교수는 평준화에 대한 단편적인 접근보다는 다면적인 접근을 통해 학교선택권의 단계적 확대나 교원임용.교육과정 운영.학교운영 등에 대한 자율권의 대폭적인 확대, 고교간 학력차이의 인정, 고교정보의 공개,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교육강화 등을 포함한 종합대책을 수립,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규제와 통제를 해제하고 학교의 자율적 역량을 확대해야 학교 교육의 효과가 커지고 능력과 적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중앙대 강태중 교수는 "고교 평준화 정책이 지난 74년 도입이래 약 30년간 기본틀과 원칙을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교육정책"이라며 "보통교육을 실현하는 제도로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교육개발원(KEDI) 이종태 연구위원은 "평준화 폐지 또는 유지에 관한 논쟁은 어불성설이며 평준화의 틀 안에서 그 시대적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가 논의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지훈 기자 hoon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