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10명 중 8명 가까운 무주택 청년이 '내 집 마련'을 꿈꾸지만, 10년 내 가능할 것으로 보는 청년은 4명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은 23일 국토이슈리포트 '2030 미혼 청년의 주거 여건과 주거 인식'을 통해 만 20~39세 미혼 남녀 300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미혼 청년의 65.8%는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부모와 동거 중인 미혼 청년은 직장인(36.9%) 학생(33.4%) 취업준비생 및 수험생(16.2%)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43.2%가 월 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일 정도로 소득 수준이 낮았다.

부모로부터 독립한 미혼 청년은 직장인 비율이 59.6%로 높았다. 소득 수준도 200~300만원 수준이 38.1%, 300만원 이상이 22.2%로 집계됐다. 이들이 거주하는 주택 유형은 연립·다세대가 36.5%로 가장 많았고, 아파트(25.3%) 오피스텔(17.5%) 단독주택(15.2%)의 순이었다. 절반에 가까운 43.8%는 보증부 월세로 거주하고 있었다.

부모로부터 독립한 미혼 청년 중 42.1%는 현재 거처를 마련하면서 부모의 지원을 받았다고 답했다. 경제적 지원 유형은 임차보증금(60.5%), 초기 월세(19.2%), 자가주택 구입 자금(16.2%) 순이었고, 평균 지원 규모는 월세 임차보증금의 60.9%, 전세보증금 45.3%, 자가주택 45.1% 등이었다.

무주택 미혼 청년의 77%는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청년은 81.3%가, 지원을 기대하지 않는 청년은 74.6%가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다만 본인의 소득과 자산을 고려했을 때 10년 이내에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청년은 42.6%에 그쳤다. 10년 이내에 내 집 마련이 어렵다고 대답한 이들의 60.3%는 일반 전월세 주택, 37.6%는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할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들은 공공임대주택의 장점으로 저렴한 주거비(66.5%), 긴 계약기간(17.9%), 임차보증금 보호(8.1%) 등을 꼽았다. 단점으로는 입주자격 제한(27.9%), 높은 경쟁률(27.1%), 제한적인 면적·주거환경(22.5%), 낮은 품질과 부정적 인식(21.7%) 등을 지적했다.

박미선 국토연구원 주거정책연구센터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부모 세대의 소득·자산 격차가 자녀 세대로 대물림될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부모 도움 없이도 적정 주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